서울 강남권도 1주일 새 5000만원 '뚝'…거래절벽에 부동산 침체

머니투데이 정한결 기자 | 2022.10.15 10:53
(서울=뉴스1) 박세연 기자 = 최근 서울을 비롯해 전국 주요 도시의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고 있다. 경기 침체·금리 인상 등의 악재로 부동산 매수심리가 냉각되면서 가격 내림 현상이 곳곳에서 나타났다.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부동산 매수심리가 위축되면서 서울 강남권도 일주일 새 5000만원 가량 떨어졌다. 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이 있어 당분간 거래절벽으로 인한 침체가 지속될 전망이다.

15일 뉴스1 등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04% 하락했다. 같은 기간 재건축 아파트 가격은 0.07% 떨어졌고, 일반 아파트 가격은 0.03% 내렸다. 신도시와 경기·인천 아파트값은 모두 0.02%씩 하락했다.

서울은 매수 심리가 더 위축되면서 25개 구 중 14곳이 떨어졌고, 11곳은 보합(0.00%)을 기록했다. 지역별로 아파트 가격 변동률은 △금천 -0.23% △송파 -0.11% △강남 -0.06% △노원 -0.05% △강동 -0.04% △구로 -0.04% △동작 -0.03% 등으로 나타났다.

송파는 잠실동 우성4차, 방이동 올림픽선수기자촌, 가락동 헬리오시티 등이 2000만~5500만원 하락했다. 강남은 개포동 디에이치아너힐즈와 대청, 대치동 쌍용1차, 2차 등이 2500만~5000만원 떨어졌다.

신도시는 1기 신도시 중심으로 떨어졌다. 지역별로 아파트 가격 변동률은 △분당 -0.05% △평촌 -0.03% △동탄 -0.02% △일산 -0.01% △중동 -0.01% 등으로 조사됐다. 경기·인천의 경우 △성남 -0.09% △김포 -0.08% △화성 -0.06% △인천 -0.04% △부천 -0.04% △수원 -0.04% △의정부 -0.04% 등이다.

임병철 부동산R114 리서치팀장은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거래절벽이 심화되고 집값 하방 압력이 더 커지는 상황"이라며 "저금리를 활용해 주택에 투자한 2030 세대들의 이자 부담이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며 "물가가 안정되고 금리인상 기조가 바뀔 때까지는 이 같은 하락 흐름이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매수심리 냉각이 확산되면서 거래 회복도 어려울 전망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10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전주(84.3) 대비 0.6포인트(p) 하락한 83.7로 집계됐다.

수도권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79.4로 전주(80.0)보다 0.6p 떨어지면서 80선이 붕괴됐다. 특히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76.9로 지난주(77.7) 대비 0.8p 하락했다. 이는 2019년 6월 10일(76.0)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같은 기간 지방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88.3에서 87.6으로 하락했다.

매매수급지수는 부동산원이 회원 중개업소 설문과 인터넷 매물 건수 등을 분석해 수요와 공급 비중을 점수화한 수치로 0~200 사이의 점수로 나타낸다. 기준치인 100보다 아래로 내려갈수록 집을 팔 사람이 살 사람보다 많다는 의미다.

거래량 감소 현상도 뚜렷하다. 지난 14일 기준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8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673건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 신고기한이 남은 9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현재까지 472건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 기조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부동산 경기도 하락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 부동산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관련 대출 증가폭이 줄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9000억원 증가했다. 이는 전달(1조6000억원)보다 증가폭이 감소한 수치로,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 부담 확대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베스트 클릭

  1. 1 "아이고 아버지! 이쑤시개 쓰면 안돼요"…치과의사의 경고
  2. 2 경매나온 홍록기 아파트, 낙찰돼도 '0원' 남아…매매가 19억
  3. 3 태국 보트 침몰 순간 "내리세요" 외친 한국인 알고보니…
  4. 4 민희진 "뉴진스, 7년 후 아티스트 되거나 시집 가거나…"
  5. 5 붕대 뒹구는 '강남 모녀 피살' 현장…"무서워 출근 못해" 주민 공포[르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