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개편 일단락…비서관 4명 인선, 행정관 50여명 짐쌌다

머니투데이 박종진 기자 | 2022.09.07 16:49

[the300](종합)추석 전 쇄신작업 매듭

[서울=뉴시스] 홍효식 기자 = 김대기 비서실장이 7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조규홍 보건복지부 제1차관) 내정 발표 및 비서실 조직 개편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2.09.07.

윤석열 대통령이 대통령실 정무 1비서관에 전희경 전 의원, 2비서관에 장경상 국가경영연구원 사무국장을 각각 인선했다. 공석인 국민제안비서관에는 정용욱 국무총리실 민정민원비서관이 발탁됐다. 대변인실은 강인선 대변인이 해외홍보비서관 겸 외신대변인으로 옮기고 당분간 이재명·천효정 공동 부대변인 체제로 운영한다.

행정관급 실무진들도 50여명가량 개편된다. 윤 대통령 취임 100일을 전후해 추진됐던 대통령실 쇄신작업이 명절 연휴 전 일단락되는 모양새다.



정무1 전희경-정무2 장경상-국민제안 정용욱 등 비서관 인선


김대기 대통령비서실장은 7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같은 내용의 대통령실 인선과 조직개편 내용을 발표했다.

먼저 비어있던 정무 1, 2비서관에는 전희경 전 의원과 장경상 국가경영연구원 사무국장을 인선했다. 제20대 국회의원을 지낸 전 전 의원은 국민의힘 서초구갑당협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전 전 의원은 시민단체(바른사회시민회의 정책실장, 자유경제원 사무총장 등) 출신으로 '보수 여전사'로 불려왔을 정도로 달변가이자 적극적 외부활동을 해왔다.

기획 전략 업무를 챙기는 정무2비서관을 맡는 장 사무국장은 18대 대선에서 박근혜 후보 캠프 전략기획팀장을 맡았고 박근혜 정부 청와대에서 국정기획수석실 선임행정관 등으로 일했다. 윤희숙 전 의원의 제부이기도 하다.

정용욱 신임 국민제안비서관은 행정고시 40회로 공직에 입문해 국무조정실 규제총괄과장, 국무조정실 안전환경정책관 등을 지낸 관료다. '어공'(정치권 등 비관료 출신 정무직)이었던 전임자가 외부인사와 부적절한 접촉 의혹 등을 받다가 사퇴한 만큼 관료에게 업무를 맡긴 것으로 풀이된다. 역시 공석인 시민소통비서관은 직무대리로 김대남 행정관이 맡는다. 종교다문화비서관은 사회공감비서관으로 명칭을 바꿔 직무대리로 전선영 선임행정관이 임명된다.

강인선 대변인은 신설되는 해외홍보비서관으로 옮겨 외신대변인을 겸직하게 된다. 대변인실은 새 대변인이 결정될 때까지 기존 이재명 부대변인과 새 부대변인이 되는 천효정 행정관의 공동 부대변인 체제로 운영된다.

[서울=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정무1비서관에 전희경 전 의원을 임명했다. (사진=뉴시스 DB) 2022.09.07.
[서울=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정무2비서관에 장경상 전 국가경영연구원 사무국장을 임명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2022.09.07.


행정관 50여명 재편도


김 실장은 조직개편안도 발표했다. 시민사회수석실에 있던 디지털소통비서관을 홍보수석실로 이관하기로 했다. 홍보수석실은 시민사회수석실에서 이관돼온 디지털소통비서관에 해외홍보비서관을 신설하고 해외홍보비서관이 외신대변인도 겸직하게 된다.

행정관은 조직진단을 거쳐 약 50여명이 재배치되거나 대통령실을 떠나게 됐다. 새롭게 대통령실에 합류할 직원들은 명절 연휴 이후 순차적으로 선발될 예정이다. 이로써 대통령실 쇄신작업이 매듭을 짓게 됐다. 앞서 윤 대통령은 수석비서관급에서 정책기획수석을 신설해 정통관료 출신인 이관섭 무역협회 상근부회장을 새로 임명하고, 경기지사 선거 후 독일에서 공부하던 김은혜 전 의원을 홍보수석에 투입하는 등 정책과 소통 분야를 강화했다.


비서관급에서는 정무수석실과 시민사회수석실을 중심으로 대대적인 개편에 나서 정무 1, 2비서관이 사임하고 국민소통비서관과 국민제안비서관이 면직처리 혹은 자진사퇴했다. 경제수석실과 사회수석실은 상대적으로 변화의 폭이 적었다. 대통령실은 명절 이후에도 인력 보강 등 상시적 개편 작업은 계속 된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7일 국민제안비서관에 정용욱 국무총리실 민정민원비서관을 임명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2022.09.07.


대통령실 "적재적소 재배치일뿐…특정 기준 아니다" 정권 초기 진통으로 설명


일각에서는 이번 개편이 소위 일부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핵심 관계자) 측근들을 솎아내는 등 정치적 의미가 있다고도 해석하지만 대통령실은 이를 부인했다. 어느 정권이나 초기에 대통령실의 혼란을 정비하는 과정을 겪게 되는데 이번 쇄신 또한 이런 맥락에서 적재적소에 인력을 재배치하는 작업일 뿐이란 설명이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이날 "혹자는 목표를 정해놓고 누구를 뭐 했다, 이렇게 판단하지만 인적 쇄신은 대통령께서도 말씀하셨지만, 정치적 목적으로 하는 게 아니고 대통령실이 어떻게 하면 더 능률적으로 효율적으로 움직여서 국민에게 서비스하느냐, 최선의 공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느냐 거기에 포인트를 뒀다"고 밝혔다.

모든 직원을 대상으로 업무기술서를 받고 조직진단을 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대통령실을 떠날 사람 등을 결정했다는 설명이다. 이 관계자는 "특정 기준을 가지고 어디서 (추천돼서) 왔으니까 그런 개념은 아니다. 무능하니까 그런 개념도 아니다"며 "적재적소에 자기가 맡는 기능과 역할을 하고 있느냐 그런 차원"이라고 말했다.

또 이 관계자는 검찰 출신 참모들은 인사쇄신의 칼날을 피했다는 지적에는 "검사 출신 비서관은 3명 밖에 없다. 법률, 공직기강, 여기는 원래 검사(출신)가 (많이) 하는 것이고 (그 외에는) 인사비서관(이원모) 1명 정도"라며 "인사기획관(복두규) 같은 분은 검찰에서 오셨지만 검찰 일반직 출신이다. 대검찰청 1만2000명이 되는 그 조직에서 인사 업무를 10년 이상 하신 분이다. 객관적으로 잘 하시더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예를 들기도 했다. 이 관계자는 "노무현 대통령 때도 초기에 1년 지나고는 거의 많이 바뀔 정도로 인사쇄신을 했다"며 "노 대통령이 당시 (대통령실 직원들에게) '여러분에게 기회는 드릴 수 있지만 보장은 해드릴 수 없다'고 했다. 그러고 좀 지나서 (직원들이) 많이 바뀌었다"고 밝혔다. 어느 정권이든 초기에 겪는 진통이라고 이해해달라는 얘기다.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4. 4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
  5. 5 "참담하고 부끄러워" 강형욱, 훈련사 복귀 소식…갑질 논란 한 달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