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정부 첫 예산안, 올해보다 5% 늘린 639조…역대 최대 24조 절감

머니투데이 세종=유선일 기자, 세종=안재용 기자, 세종=유재희 기자 | 2022.08.30 10:00

[2023년 예산안]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2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년 예산안' 사전브리핑을 했다./사진=기획재정부
윤석열 정부가 내년 예산안을 올해 본예산보다 5.2% 늘어난 639조원 규모로 편성했다. 내년 예산안은 올해 1·2차 추가경정예산을 포함한 전체 예산과 비교하면 6% 줄어든 수준이다. 연간 총지출이 전년보다 줄어드는 것은 2010년 이후 13년 만이다.

윤석열 정부는 출범 후 처음 편성한 예산안에서 지출 확대폭을 지난 정부보다 크게 낮춰 재정정책의 초점을 '건전화'에 맞췄음을 명확히 했다. 그러면서도 물가 상승과 경기 둔화에 따른 취약계층 어려움 가중을 고려해 '서민·사회적약자 지원 강화'에 가용 재원을 집중 투입하기로 했다.

정부는 29일 국무회의를 열고 '2023년 예산안'을 의결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2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가진 사전브리핑에서 "내년 예산안은 건전 재정의 기틀을 확고히 확립해 나간다는 기조하에 편성했다"며 "내년 예산안은 예년 대비 크게 낮은 5.2% 증가(올해 본예산 607조7000억원 대비)에 그친 총 639조원"이라고 말했다. 이어 "추경을 포함하면 2010년 이후 처음으로 올해 총지출(1·2차 추경을 반영한 679조5000억원) 대비 감소한 모습"이라고 말했다.

윤석열 정부는 문재인 정부가 집권 5년 동안 지출을 크게 늘려 재정건전성이 악화된 점을 고려해 재정정책 기조를 '확장'에서 '건전'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그러나 취약계층 복지 강화, 경기 활력 등 꼭 필요한 부문에는 재정을 적극 투입한다. 해당 재원 마련을 위해 불요불급한 사업을 폐지·축소하는 등 역대 최대 규모(24조원)로 지출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2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년 예산안' 사전브리핑을 했다./사진=기획재정부
내년 예산안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소득·일자리·주거 지원 등 '두터운 사회안전망 구축' 예산을 올해 27조4000억원에서 내년 31조6000억원으로 늘린 것이 눈에 띈다. 대표적으로 복지사업의 지원 기준이 되는 '기준 중위소득'을 2015년 도입 후 역대 최대폭 인상(4인 가구 기준, 5.47%)한다. 반지하·쪽방 등에 거주하는 취약계층이 정상 거처로 이주할 수 있도록 이사비 40만원과 보증금 무이자 융자를 지원한다.

정부는 장애인·노인·아동·청소년 등을 위한 '사회적 약자 맞춤형 보호지원 강화' 예산을 올해 23조2000억원에서 내년 26조6000억원으로 확대한다. 지난 2015년 이후 동결됐던 장애수당은 월 4만원에서 6만원으로 인상한다. 장애인 이동 편의를 위해 콜택시 이동지원센터 운영비 지원 예산 238억원을 신규 편성했다.


'저출산 대응 강화' 예산은 올해 6조원에서 내년 7조4000억원으로 확대한다. 영유아 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덜기 위해 내년부터 만 0~1세 아동 양육가구에 월 35만~70만원 부모급여를 신규 지급한다. 2024년부터는 부모급여를 50만~100만원 수준으로 인상할 계획이다.

정부는 경제활력 제고 차원에서 '미래전략산업 집중 육성' 예산을 올해 2조8000억원에서 내년 3조7000억원으로 늘린다. 대표적으로 반도체 산업 초격차 확보를 뒷받침하기 위해 1조원을 투입한다. 원전 산업 생태계 회복을 위해 소형모듈원자로(SMR) 등과 관련한 핵심 기술개발, 방폐장 건설, 전문인력 양성 등에 7000억원을 지원한다.

이밖에 정부는 반도체·양자·우주 등 핵심 전략기술 개발과 미래에너지·난치병 등 미개척 분야 연구 지원에 총 4조9000억원을 투입한다. 병장 기준 병 봉급(사회진출지원금 포함)을 월 82만원에서 130만원으로 늘리고 첨단무기체계를 확충하는 등 국방예산은 올해 54조6000억원에서 내년 57조1000억원으로 늘린다. 올해 집중호우에 따른 수해 발생 등을 고려해 재난관리체계 고도화 등에는 6조10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한편 정부는 내년 연간 국세수입은 올해 전망치 397조1000억원보다 3조4000억원 많은 400조5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GDP(국내총생산) 대비 관리재정수지 적자 비율은 올해 -5.1%에서 내년 -2.6%로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국가채무는 올해 1068조8000억원에서 내년 1134조8000억원으로 늘고 같은 기간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은 49.7%에서 49.8%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4. 4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
  5. 5 "참담하고 부끄러워" 강형욱, 훈련사 복귀 소식…갑질 논란 한 달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