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성군, 지방소멸대응기금 168억 확보

머니투데이 곡성(전남)=나요안 기자 | 2022.08.22 14:19

농촌 유학마을과 청년 체류 공간 조성…'젊어지는 곡성' 건강한 인구구조 회복

곡성군청.
전남 곡성군이 지방소멸대응기금 2개년(2022~2023) 사업비으로 168억 원을 확보했다고 22일 밝혔다.

지방소멸대응기금은 지역 소멸에 위기에 처한 지자체를 돕기 위해 도입됐다. 올해를 시작으로 10년간 매년 1조 원씩 총 10조 원을 정부출연금으로 지원한다. 기초지자체의 경우 인구감소지역 지정된 전국 89개 지자체와 인구감소지수가 높은 관심 지역 18개 지자체가 대상이다.

지원액은 지자체에서 제출한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계획서를 평가해 5단계(A~E)로 지원 등급을 나눠 차등 지급한다. A등급(각 210억 원)은 전국에서 4곳, B등급(168억 원) 13곳, C등급(140억 원) 39곳, D등급(126억 원) 18곳, E등급(112억 원) 15곳이 선정됐다. 곡성군은 B등급을 받아 2022년 72억 원, 2023년 96억 원을 확보하게 됐다.

곡성군은 청년 인구 유입에 초점을 두고 계획서를 제출했다. 곡성 유학마을과 청년 체류형 거점 공간을 조성해 '젊어지는 곡성'을 목표로 건강한 인구 구조를 회복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총 9개 사업을 이번 계획서에 담아냈다.


곡성 유학마을 조성 사업을 4개 지역에 추진한다. 생태 교육과 창의 교육 등을 위해 농촌으로 전학 오는 도시민들에게 거주 공간을 마련해 주는 사업이다. 또한, 관계 인구 창출과 체류형 거점 공간으로 곡성 돌아오지촌 조성도 계획하고 있다.

또한, 쉼과 업무를 병행하는 워케이션 청년을 위해서는 청년층 중심 거주 및 공유 공간인 러스틱타운 고도화 사업도 진행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곡성형 유토피아 시범마을 구축, △청년농부 인큐베이팅 허브센터 구축, △섬진강권 통합 관광벨트 조성을 위한 핵심 연계 거점 조성 사업 등도 계획서에 포함됐다.

이상철 곡성군수는 "9개 사업이 서로 체계적으로 연계됨으로써 청년 인구 유입에 시너지 효과를 일으킬 수 있도록 구성했다"며 "기금 사업이 인구 감소 대응의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우리 군 특화 시책을 내실 있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무섭다" 구하라 사망 전, 비밀계정에 글+버닝썬 핵심 인물에 전화
  4. 4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5. 5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