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안쓰던 욕을 한다?…전문가 "이 병 의심해봐야"

머니투데이 류원혜 기자 | 2022.07.28 10:29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최근 일을 기억하지 못하거나 갑자기 안 하던 욕을 한다면 알츠하이머 치매를 의심해야 한다는 전문가 의견이 나왔다.

28일 방송된 KBS 1TV '아침마당'에서는 치매 치료 전문가인 정지향 이화여대 의과대 신경과학교실 교수가 출연해 실생활 속 알츠하이머 치매 증상을 설명했다.

치매 원인으로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중풍 등 혈관성 질환 △과음(알코올성) 등이 있다. 중앙치매센터가 지난 4월 발간한 '대한민국 치매현황 2021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65세 이상 추정치매환자 약 84만명 중 알츠하이머형 치매가 63만4000여명(75.5%)를 차지했다.

정지향 교수는 치매 유형 1위인 알츠하이머에 대해 "뇌 안에 독성물질인 베타 아밀로이드(beta-amyloid)가 쌓이면서 신경 세포 변성을 유발하는 타우 단백질(tau protein) 변성이 일어나고, 이것이 신경세포 위축 등으로 진행되는 퇴행성 뇌질환"이라고 설명했다.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최근 일을 기억하지 못하는 것이다. 해마가 건강할 때의 과거 기억은 잘 유지된다.

잘하던 행동을 못하는 증상도 있다. 요리를 잘하던 사람이 간을 맞추지 못하는 등 평소 해왔던 일에 대해 미숙해지는 경우다. 돈 개념이 상실돼 아무에게나 돈을 나눠주는 일도 발생할 수 있다.


충동 억제 기능도 손상된다. 갑자기 안 쓰던 욕설을 사용한다거나 모욕적 언행, 적절하지 못한 유머 등 비정상적 발언을 하는 것도 알츠하이머 치매를 의심해 볼 증상이다.

옷차림의 변화도 생길 수 있다. 계절이나 상황에 맞춰 옷을 입는 것에는 전두엽의 판단 기능이 필요하기 때문. 정지향 교수는 "심한 경우 바지를 입어야 하는데 상의를 입는다거나 겉옷 위에 속옷을 입는 등 순서에 맞지 않게 옷을 입는다"고 설명했다.
/사진=KBS 1TV '아침마당'
장민욱 신경과 전문의는 뇌 노화를 막기 위한 '뇌로빅'(뇌 신경세포인 뉴런과 에어로빅의 합성어)을 소개했다. 그는 "기초 뇌 체력을 길러놓으면 치매를 막을 수 있다"고 밝혔다.

첫 번째는 '노래에 맞춰 손뼉 치기'다. 예를 들어 동요 '송아지'에 맞춰 가사에 'ㅇ'(이응)이 들어갈 때마다 손뼉을 치는 방식이다.

두 번째는 '양손 거울 글쓰기'다. 거울로 비춘 것처럼 대칭되게 쓰면 된다. 세 번째는 '반대 손 사용하기'다. 평소 익숙하게 사용하던 손 대신 다른 손을 사용하고, 생활 패턴을 바꾸는 것으로 뇌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무섭다" 구하라 사망 전, 비밀계정에 글+버닝썬 핵심 인물에 전화
  4. 4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5. 5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