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조직·세포만 전담 분양하는 '뇌은행' 생긴다

머니투데이 김인한 기자 | 2022.07.11 13:25

과기정통부 뇌은행 지정제도 시행
연구자에 뇌조직·세포·체액 등 분양

정부가 뇌연구 촉진법 시행령에 따라 '뇌은행' 지정을 추진한다.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정부가 뇌조직·세포·체액 등을 관리하고 분양하는 '뇌은행' 지정을 추진한다. 뇌졸중·우울증 등 뇌질환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늘고 있어 이를 뇌연구로 선제 해결하겠다는 목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는 12일부터 뇌은행 지정제도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뇌연구 촉진법 시행령'이 지난달 21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과기정통부는 뇌은행 지정을 위해 기관의 신청을 받는다. 뇌은행으로 지정받으려는 기관은 시행령에서 정하는 기준을 충족하는 증빙서류를 과기정통부에 제출해야 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15년 뇌질환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11조3000억원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이 비용은 2025년 33조8000억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뇌연구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뇌연구는 2020년 한 해만 예산 1822억원과 연구자 5000여명이 투입됐다.

다만 국내에서 뇌연구를 위한 조직·세포·체액 등 자원을 확보하기엔 어려움이 있었다. '생명윤리법'에 따라 서울대병원, 삼성서울병원, 충남대병원 등 12개 기관이 '인체유래물'을 수집·관리하고 있다. 인체유래물이란 인체에서 유래한 조직·세포·혈액 등을 일컫는다. 인체의 모든 자원을 모으는 만큼 뇌연구 자원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뇌는 인체 유래물과 달리 개인정보가 담긴 장기로 윤리적 측면에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미국은 적출된 뇌조직을 지정병원에서만 보관하고 표준화된 정보도 익명화해 관리하고 있다. 유럽연합(EU)도 뇌연구 자원과 관련해 비밀보장, 데이터보호 원칙, 분양 등 별도의 규정을 마련해 유럽 내 19개 뇌은행을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번 시행령 개정으로 인체유래물 은행이나 시체 제공 허가를 받은 기관 중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기관을 뇌은행으로 지정 관리할 수 있게 됐다. 과기정통부는 뇌은행 지정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신청기관의 생명윤리위원회(IRB) 설치 여부와 뇌연구 자원 관리 지침 등을 살펴볼 예정이다.

IRB는 사람 대상의 임상연구에 대한 윤리적 심의다. 연구 대상자의 안전과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임상연구를 원하는 기업, 연구소, 병원 등은 의무적으로 연구 심의를 거쳐야 한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국내 뇌연구는 태동기와 확충기를 넘어 도약기에 접어들고 있다"며 "뇌은행이 국내 뇌연구가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는 핵심 기반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베스트 클릭

  1. 1 19층 어린이 층간소음 사과 편지에 18층 할머니가 쓴 답장 '훈훈'
  2. 2 속옷 벗기고 손 묶고 "빨리 끝내자"…초등생이 벌인 끔찍한 짓
  3. 3 조세호, ♥아내와 신혼여행 중 포착…'샤넬 커플룩' 가격 어마어마
  4. 4 "차라리 편의점 알바"…인력난 시달리는 '월 206만원' 요양보호사
  5. 5 "엄마, 오빠가…" 4년 참다 털어놨다…초등 의붓동생 성폭행한 20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