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인구가 쓰고도 남을 전기, 하수처리장 등 환경시설서 만든다

머니투데이 세종=김훈남 기자 | 2022.06.21 12:00
충남 서산시 바이오가스화시설 /사진제공=환경부

정부가 오는 2026년까지 전국 환경시설의 에너지 생산설비를 두 배로 확대할 방침이다. 환경시설의 에너지 설비 확충을 통해 4인 가구 기준 연간 138만 가구가 쓸 수 있는 전력을 생산한다는 목표다. 울산 인구(112만명) 전체가 쓰고도 남을 정도의 전력이다.

환경부는 21일 하수처리시설과 정수장, 댐 등 환경시설에서 바이오가스·수상태양광·소수력발전 등 재생에너지 생산을 확대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바이오·물 에너지 확대방안(로드맵)'을 발표했다.

정부는 이번 대책으로 지난해 연간 3264GWh(기가와트시) 규모였던 환경시설 재생에너지 생산량을 2026년까지 5764GWh로 확대할 계획이다. 4인 가구 기준 연간 138만 가구가 쓸수 있는 전력규모다. 또 2030년까지 환경시설 재생에너지 생산량을 연간 8762GWh로 늘려 환경시설에서 쓰는 연간 에너지 7625GWh를 모두 공급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환경부에 따르면 전국의 환경시설은 1341곳으로 △음식물 등 폐자원처리를 통한 바이오가스 생산시설 110곳 △광역 정수장 43곳 △지자체 운영 정수장 473곳 △500톤(t) 이상 공공 하수처리시설 678곳 △댐 37곳 등이다. 환경부는 현재 총 1.57GW(기가와트) 규모의 환경시설 에너지 생산설비를 2026년까지 3GW로 키울 계획이다.

세부적으로는 그동안 90%이 사료나 퇴비로 쓰던 음식물류 폐기물, 하수찌꺼기, 가축분뇨 등 유기성 폐자원을 바이오가스 에너지로 재활용할 방침이다. 국고를 우선 지원해 현재 110곳인 바이오가스 생산시설을 140곳으로 늘리고 가스 생산량도 연간 3.6억N㎥(노멀입방미터)에서 5N㎥로 확대한다.


이를 통해 연간 1812억원 규모 LNG(액화천연가스) 수입대체 효과와 연간 110만톤의 온실가스 추가감축 효과를 기대한다고 환경부는 설명했다. 현재 2곳인 바이오 그린수소 생산시설을 최대 5곳까지 확대하고 동·식물성잔재물 에너지화를 위한 기술개발에 향후 5년간 총 428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이밖에 환경부는 정수장과 하수처리시설, 댐 등 물관리 환경시설 역시 설비투자를 2배 확대해 2026년까지 에너지 생산 가능 설비용량을 2.9GW로 늘리기로 했다. 이를 통해 연간 4800GWh 규모, 4735억원어치 전력을 생산하고 온실가스 70만톤을 추가 감축할 계획이다.

오영민 환경부 재생에너지TF(태스크포스) 과장은 "미래 사회는 모든 건물과 기반시설에서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만들고,탄소 발생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며 "이런 변화가 머지않은 미래에 현실이 되도록 환경부가 한발 먼저 더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베스트 클릭

  1. 1 태국 보트 침몰 순간 "내리세요" 외친 한국인 알고보니…
  2. 2 "아이고 아버지! 이쑤시개 쓰면 안돼요"…치과의사의 경고
  3. 3 "김호중, 징역 3년 이상 나올 듯…바로 합의했으면 벌금형"
  4. 4 '수상한 안산 주점' 급습하니 PC 14대…우즈벡 여성 주인 정체는
  5. 5 "1호선에서 갈아탔나 봐"…지하철 4호선에 등장한 파란 삿갓 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