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2월까지 전문가로 구성된 협상단을 꾸려 중재에 나섰지만 공사 중단 사태를 막지 못했다.
━
서울시 '물밑 중재' 지속…타협점 찾나 ━
이번 사업이 최종 결렬되면 조합과 시공사 모두 타격을 받지만 시의 공공주택 확보 계획도 어그러진다. 둔촌주공 재건축 단지는 부지 용도 상향(2종→3종) 인센티브를 통한 공공 기부채납으로 단지 내에 1000여 가구의 임대주택을 설계했다. 강남권 입지에 대단지 아파트 규모의 공공주택을 확보한 셈인데, 이 역시 타격이 불가피하다.
━
분담금 2억→6억5000만원 급등, 트리마제 사례 재현?…사업 무산될 가능성은 낮아━
'트리마제 사태'는 2001년 지역주택조합으로 시작한 트리마제가 글로벌 금융위기로 시행사 도산, 조합과 시공사간 갈등으로 인한 시공사 교체, 사업지연에 따른 조합원들의 투자금과 조합원 지위 상실로 난항을 겪다 일부 조합원들이 극단적 선택으로 목숨을 잃는 일까지 일어난 대표적인 지역주택조합 실패 사례다.
둔촌주공 시공단은 절반 가량 지어진 아파트 건물에 유치권을 행사했다. 그동안 투입한 공사비 1조7000억원을 청구한다는 의미다. 또 이주비 대출 1조4000억원과 사업비 7000억원에 대한 금융지원도 중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로 인해 조합원이 추가로 내야 할 분담금 규모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이번 갈등이 트리마제 사태처럼 번질 가능성은 낮다는 게 중론이다. 시공사가 유치권을 행사해도 별도 법원의 판단을 받아야 하고, 금융권의 선순위 채권 등이 얽혀 있어 경매 절차도 매우 복잡하다. 이미 건물이 50% 이상 지어져 기존 비용 부담을 끌어안고 새로 시공사로 나설 건설사도 찾기 어렵다. 만약 시공단이 경매를 거쳐 부지를 모두 인수하더라도 재시공이 불투명하다. 이 사업이 도시정비법상 재건축 사업으로 추진됐기 때문에 이와 다른 자체 사업 형태로 분양하기 위해선 인허가 절차를 처음부터 다시 밟아야 한다. 최악의 경우 10년 이상 사업이 미뤄질 것이란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
타워크레인 철거 장기전 대비한 포석…조합과 시공사 신속한 협의가 관건━
조합과 시공단이 조금씩 양보해 절충된 합의점을 찾는 게 급선무라는 의견이 많다. 김예림 법무법인 덕수 부동산전문 변호사는 "이미 공공성을 반영해 결정된 재건축 사업이 민간 시행으로 바뀌면 관할 지자체에서 인허가를 다시 내주기 어렵다"며 "이 때문에 둔촌주공 사업장에서 트리마제 사태가 재현될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이 연구위원은 "시간을 끌수록 조합과 시공사 모두에 부담이 커질 수 있다. 조합원은 추가 부담금을 더 내야하고, 시공사는 재시공 비용 등 손실을 감내해야 한다"며 "물가상승을 반영해 건축비 인상분을 반영하는 방향에서 양측이 원만히 합의하는 게 바람직한 해법"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