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클로도 가격 올린다고요?"…엔저 시대 일본은 지금

머니투데이 박진영 기자 | 2022.04.20 09:40

[MT리포트] 안전하지 않은 엔화?③

편집자주 | 안전자산으로 꼽히던 엔화가 전쟁 발발에도 되레 급격히 가치를 잃고 있다. 일본정부는 이를 지켜보고 있는데 대응이 힘들다는 지적도 나온다. 엔저 현상은 왜 생겼고 일본경제엔 무슨 영향이 갈까. 또 우리나라는 이를 어떻게 보고 대응해야 할까.

일본 도쿄의 음식점 모습 /사진=AFP
2월 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엔화 가치 하락(환율 상승)이 한층 가속화하면서 일본 서민들도 신음 소리를 내고 있다. 에너지 가격이 급등한 데다 일본 기업들이 들여오는 원자재, 식재료 값이 급등하면서 물가 부담이 그대로 서민들에 전가되고 있기 때문이다. 임금상승률이 정체된 상황에서 사실상 소득감소를 경험 중인 셈이다.



전기·가스요금 25% 인상, 도시락 값도 '훌쩍'


19일 닛케이신문에 따르면 오는 5월 도쿄전력홀딩스의 전기요금은 전년 같은 달 대비 25%가량 상승된다. 도쿄가스도 24% 오르게 된다. 연료비 상승은 에너지 수입가격에 후행해 반영되는 경향이 있는 만큼 엔저와 유가 상승 등으로 인한 광열비 인상은 점차 가팔라 질 전망이다.

서민들의 '한끼 식사'를 해결하던 편의점, 저가 외식 체인점의 가격 상승도 눈에 띈다. 수입 밀 가격 급등에 엔저가 겹치며 식자재 부담이 급증해 이를 소비자 부담으로 전가하는 것이 불가피한 상황에 내몰렸다.

일본의 대표적인 편의점인 패밀리마트, 세븐일레븐 등도 도시락 등 즉석식품 가격을 2~15%까지 인상키로 했다. 지난해 10월 쇠고기덮밥 가격을 39엔(약 380원) 올린 바 있는 덮밥 체인점 요시노야도 현재 가격유지가 어려울 정도다. 지난 14일 요시노야의 가와무라 야스타카 사장은 전세계에서 식자재를 수입하고 있어 "지나친 엔화 약세를 환영하지 않는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도쿄 유니클로 외관 /사진=AFP


유니클로 "가격인상 불가피" 100엔숍도 옛말?


패션업계의 상황도 만만치 않다. 일본의 '패스트패션' 선두주자인 유니클로도 가격 인상을 시사했다. 야나이 타다시 일본 유니클로 회장도 같은날 엔저가 해외실적을 끌어올리는 효과가 있지만, 손해가 훨씬 크다며 "엔화 추세를 우려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원재료 가격은 두 배, 심한 것은 3배까지 올라버렸다. 현재 가격으로 파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제품 가격 인상을 시사했다.

'일본의 자라'라고도 불리는 패스트패션 업체 '시마무라'는 엔화 약세와 원자재 가격 인상의 영향으로 올 가을·겨울 옷 단가를 평균 3~4% 인상한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도 유명한 100엔 균일숍 '다이소'도 정책을 바꿔나가고 있다.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다이소는 지난 15일 도쿄 긴자에 300엔의 균일가 상품을 중심으로 한 신규 브랜드들과 기존 100엔 제품을 함께 소개하는 신규 점포를 오픈했다.

100엔숍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상품을 소개하는 것'이 목적이라고는 하지만 중국, 동남아 등에서 생산해 수입하는 비즈니스로 원재료 가격 상승, 해외 인건비 상승, 엔저의 타격을 받음을 인정하고 있다. 이에 향후로도 기존 고객들을 위해 100엔 상품을 유지하면서 이를 웃도는 가격대 상품의 비율을 늘려간다는 계획이다.



값싼 노동력 '중진국' 추락하나…"원전 재가동"도 힘실려


에너지 가격을 비롯 전방위적인 물가 인상에 서민들의 불안감도 크다. 일각에서는 "일본이 값싼 노동력을 제공하는 중진국으로 전락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또 값비싼 에너지 수입에 대응할 수 있는 '원전 재가동'도 힘을 얻고 있다. 일본은 2011년 동일본대지진 이후 위험성을 인지해 대다수 원전의 가동을 중지한 상황이다.

일본의 진보 성향의 아사히신문이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여론조사에서, 지난 2월 원전 재가동 반대 의견은 47%로 1년 전(53%)보다 6%포인트 감소했고, 재가동해야한다는 의견은 6%포인트 늘어난 38%를 기록했다. 미즈호 은행의 카라카마 다이스케 치프 마켓·이코노미스트는 "원자력 발전소 정지로 인한 에너지 수입 증가도 무역적자의 주요인"이라며 "엔화 약세를 멈추기 위해 원전을 재가동해야 한다는 의견은 앞으로도 강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베스트 클릭

  1. 1 '나혼산'서 봤는데…'부자언니' 박세리, 대전 집 경매 넘어갔다
  2. 2 "못생겼어" 싼타페 변신 실패?…대신 '아빠차' 등극한 모델은
  3. 3 "말도 안 되는 휴진하게 된 이유는…" 소아흉부외과 교수 '통곡의 편지'
  4. 4 3시간만에 수정된 '최태원 이혼 판결문'…"파기 사유도 가능"
  5. 5 신동엽, '대마초 사건' 자폭 개그에…"부끄러운 줄 모르냐" 일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