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끝난다고?…"더 강한 변이 온다" 국내외서 섬뜩한 경고

머니투데이 김성휘 기자 | 2022.03.27 14:11
(인천공항=뉴스1) 임세영 기자 = 22일 인천국제공항 1터미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 센터에서 의료진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이날 방역당국이 스텔스 오미크론(BA2) 변이 유행과 관련 전세계 발생의 60%를 점유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스텔스 오미크론(BA.2)'의 국내감염 검출률은 41.4%로 21일 집계됐다. 전주 26.3% 대비 15.1%p 증가했다. 2022.3.22/뉴스1

올 하반기에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새로운 변이가 또 나올 것이며 2년 내 오미크론보다 위험한 변이가 나올 수도 있다는 전문가 전망이 쏟아졌다. 지금의 오미크론 변이가 끝이 아니라는 것이다.



"재유행 피할 수 없어…하반기 새 변이 가능성"


27일 뉴스1에 따르면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지난 25일 대한백신학회 온라인학술대회에서 하반기 중 새로운 변이가 등장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정 교수는 인구 중 40% 이상이 감염을 통해 면역을 획득했을 걸로 추정했다. 또 감염병이 가지는 특성 등을 고려, 앞으로 반복적인 재유행은 피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정교수는 "국내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변이가 나타나는 확률은 매달 평균 30%"라며 "면역 감소와 새 변이의 등장 시점은 생각보다 빠를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이런 시점이 겹칠 경우 피해는 더욱 더 커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해외에선 2년 내로 오미크론보다 더 나쁜 변이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게다가 과학자들은 다음번에 출현할 코로나19 변이가 반드시 오미크론에서 직접 진화한다고 보장할 순 없다고 했다.
(인천공항=뉴스1) 임세영 기자 = 22일 인천국제공항 1터미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 센터 앞에서 입국자가 대기하고 있다. 이날 방역당국이 스텔스 오미크론(BA2) 변이 유행과 관련 전세계 발생의 60%를 점유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스텔스 오미크론(BA.2)'의 국내감염 검출률은 41.4%로 21일 집계됐다. 전주 26.3% 대비 15.1%p 증가했다. 2022.3.22/뉴스1


"새 변이, 오미크론과 다른 계통일 것"


지난달 28일에 출간된 네이처지에 따르면 앤드루 페이지 영국 쿼드럼연구소 박사는 "새로운 변이가 몇 달에 한 번씩 휩쓸고 갈 것"이라며 "(변이) 이것이 상당히 정기적으로 일어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영국 정부 최고의학보좌관인 크리스 위티 박사는 "코로나19 팬데믹 종식까지는 갈길이 멀다"며 "새로운 변이가 나타날 확률이 높다"고 밝혔다.


영국 정부의 비상사태과학적자문그룹(SAGE) 전문가들은 오미크론에서 발전한 게 아닌, 메르스 같은 초기 코로나 바이러스 계통의 변이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앤드류 램바우트 에딘버러대학 교수는 "지금까지 새롭게 나타난 '우려 변이'들은 바로 앞의 지배종에서 나오지 않았다"면서 "다음의 우성 변이는 델타나 알파 변이 계통에서, 오미크론을 쓸어버릴 정도의 면역회피성을 갖고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전망은 당초 오미크론 변이를 마지막으로 코로나19가 팬데믹에서 엔데믹(계절독감화)으로 약화될 것이라는 기대를 깨는 것이다.

많은 전문가들이 아직 엔데믹 전환 시점이 아니며, 치사율이 비교적 낮은 오미크론이 지배종이 되고 나면 새로운 변이가 다시 출현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비록 오미크론 변이는 그 위력이 약해지는 쪽으로 변화했지만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진화가 끝나진 않은 셈이다.

베스트 클릭

  1. 1 "말도 안 되는 휴진하게 된 이유는…" 소아흉부외과 교수 '통곡의 편지'
  2. 2 "못생겼어" 싼타페 변신 실패?…대신 '아빠차' 등극한 모델은
  3. 3 신동엽, '대마초 사건' 자폭 개그에…"부끄러운 줄 모르냐" 일침
  4. 4 3시간만에 수정된 '최태원 이혼 판결문'…"파기 사유도 가능"
  5. 5 군중 앞 끔찍한 전처 살해…"안 잡힐 자신 있다" 증발 16년째[뉴스속오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