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삼성전자 '꿈틀'…반도체株 '겨울'은 대체 언제 끝?

머니투데이 이사민 기자 | 2022.03.16 16:44

"겨울은 언제 끝날까."

국내 반도체 대장주들의 '봄'이 언제 올지 관심사다. 국내 반도체 대장주인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는 16일 미국 반도체 업종 오름세 영향으로 동반 상승 마감했지만 아직 갈길이 멀다.


SK하이닉스·삼성전자↑…美 반도체주 상승에 韓도 '빙그레'


16일 코스피 시장에서 SK하이닉스가 전 거래일 대비 4000원(3.56%) 오른 11만6500원에 마감했다. 지난 11일부터 15일까지 3거래일 연속 하락하다가 반등에 성공했다. 최근 연이은 하락세에 개미들을 울상 짓게 한 삼성전자는 전일 보다 900원(1.29%) 상승한 7만400원에 거래를 마치며 '7만 전자'를 회복했다.

국내 반도체 업종 상승세는 간밤 미국 증시에서 반도체주가 오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난 15일(현지시간) 미국 반도체 상장사 중 시가총액 상위 30개 종목을 지수화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132.74포인트(4.36%) 오른 3180.24에 거래를 마쳤다. 메타버스 산업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나오면서 반도체 업종이 급등했다.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의 글로벌 경쟁사로 D램과 NAND플래시 메모리를 생산하는 마이크론은 전 거래일 보다 5.35% 상승했다. 미국 반도체 기업 가운데 시가총액이 가장 큰 엔비디아는 7.70% 올랐다.


반도체株 "겨울은 언제 끝?"..."주가는 올해 3분기로 향해"


지난달 9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반도체 소재ㆍ부품ㆍ장비 전시회 '세미콘 코리아'를 찾은 관람객들이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사진제공=뉴스1

국내 반도체 주는 지난해 8월 미국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가 '메모리 - 겨울이 오고 있다'(Memory - Winter is coming) 보고서를 발표한 이후 주가가 급락했다. 모건스탠리는 당시 "메모리 반도체 공급이 최고점에 다다르면서 수요를 넘어서고 있다"고 지적하며 SK하이닉스의 목표가를 종전 대비 절반 수준으로 대폭 낮춘 바 있다.

이후 고전을 면치 못하던 반도체 주는 최근 한달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흔들리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증권가는 지정학적 이슈로 인한 공급 불확실성 문제가 다소 과장됐다고 입을 모은다.


김양재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 한 달 메모리 업계 주가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코로나19(COVID-19) 확산 우려를 반영하며 -25% 급락했다"면서도 "대회 불확실성은 여전하고 변수도 많지만 우호적인 이슈도 지나치게 저평가된 것"이라 했다.

최도연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공급 불확실성은 네온, 크립톤, 크세논 가스 등 원재료 수급 우려"라며 "우크라이나 기업 잉가스(Ingas), 크라이오인(Cryoin) 등 네온 가스 제조사의 생산 시설이 멈춘 것으로 파악된다"고 했다.

다만 그는 "반도체 및 가스 생산 업체들의 합산 보유 재고가 3~4개월 수준으로 확인된다"며 "전쟁이 3개월 이상 장기화되거나 가스 제조사들의 생산 기지가 파괴되는 시나리오를 제외하면 공급 불확실성은 제한적"이라 강조했다.

그러면서 "주가는 두 분기 뒤인 올해 3분기 업황을 향하고 있다"며 "단기적으로 러시아-우크라이나 이슈가 반도체 주가를 지배하고 있다. 매크로 이슈가 해소되는 구간에서 반도체 주가가 빠르게 반등할 것"이라 예상했다.

최근 중국이 코로나19(COVID-19)로 상해, 선전 등 대도시 봉쇄에 돌입하며 공장이 문을 닫아 2년 전 '반도체 수급난'이 다시 발생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조심스레 나온다. 그러나 중국발 영향도 심각하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김 연구원은 "중국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폭스콘(Foxconn)과 유니마이크론(Unimicron) 등 현지 테크 공장 가동이 중단되고 봉쇄 지역이 넓어지면서 생상 차질 영향이 확대될 전망"이라면서도 "현재 테크 부품 비수기이고 현지 기업도 백업플랜을 시행하는 등 우려 대비 생산 차질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했다.

베스트 클릭

  1. 1 김호중, 뺑소니 피해자와 합의했다…"한달 만에 연락 닿아"
  2. 2 김호중 '음주 뺑소니' 후폭풍…끈끈하던 개그 선후배, 막장소송 터졌다
  3. 3 "1.1조에 이자도 줘" 러시아 생떼…"삼성重, 큰 타격 없다" 왜?
  4. 4 '나혼산'서 봤는데…'부자언니' 박세리, 대전 집 경매 넘어갔다
  5. 5 피자·치킨 20인분 배달가니 "안 시켰다"…후불 '음식테러' 한 사람 정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