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드맨' 푸틴에게 약속이란?"…"으음, 깨려고 있는 것!"

머니투데이 송지유 기자 | 2022.03.12 09:10

우크라 침공 관련 푸틴의 거짓 발언들,
국제사회 속이는 '기만작전' 계속 반복…
"징집병 안 보냈다" 자국민에도 예외없어

(AFP=뉴스1) 이동원 기자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달 24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에서 "군사작전"을 선포하고, 서방의 분노와 세계적인 호소에 저항하며 그곳의 군인들에게 무기를 내려놓지 말 것을 요구 전쟁을 개시하다. 사진은 2019년 2월 20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모스크바에서 연례 국정연설을 하는 모습. (C) AFP=뉴스1

▶2021년 11월12일: "군대를 배치하는 건 전적으로 내부 문제다. 우린 침략자가 아니다."

▶2021년 12월23일: "나토의 위협을 막으려고 국경에 병력을 보낸 것이다."

▶2022년 1월18일: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계획이 전혀 없다."

▶2022년 2월15일: "러시아는 전쟁 아닌 협상을 원한다. 벨라루스에 있는 병력은 복귀 중이다."

▶2022년 2월24일: "우크라이나 점령 계획이 없다. 침공 작전의 유일한 목표는 주민 보호다."

▶2022년 3월6일: "민간인들의 대피를 허용하려고 주요 도시에 대한 공격을 멈췄다."

▶2022년 3월7일: "징집병은 전투에 배치하지 않았다. 앞으로도 참여하지 않을 것이다."

최근 4개월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국제사회에 전한 주요 발언들이다. 미국이 국제사회에 다급한 경고 메시지를 보내면서 시작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시나리오가 현실이 되는 동안 푸틴이 내뱉은 이 말들은 모두 거짓으로 드러났다. 심지어 러시아 국민들에게 한 약속도 무참히 깨버렸다.



"전쟁 원치 않는다더니"…열흘도 안돼 기습침공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키예프)의 한 주거시설이 러시아군의 포격을 받아 붕괴되고 불탔다. /사진=로이터
미국은 지난해 11월 유럽연합(EU)·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등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가능성을 거론하며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을 전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접경지역에 군병력을 비정상적으로 늘린 점에 주목했다.

이에 대해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와 관계가 없으며 침공할 계획이 전혀 없다고 반박했다. 하지만 국경에 병력을 늘린 이유는 계속 달라졌다. 처음엔 국가 내부의 문제라고 잡아 뗐다가, 한 달 뒤엔 나토의 위협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지난달 15일 기자들을 불러 모은 푸틴 대통령은 돌연 "전쟁이 아닌 협상을 원한다"고 밝혀 국제사회의 경계감을 누그러뜨렸다. 벨라루스와 대규모 합동 군사훈련을 마친 병력이 부대로 복귀하고 있다며 영상까지 공개했다. 이날은 미국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일(2월16일)로 예측한 하루 전날이었다. 주요국 증시가 급등하는 등 안도감이 확산됐다.


(모스크바 AFP=뉴스1) 우동명 기자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달 15일(현지시간) 모스크바 크렘린에서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과 기자회견서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 "러시아는 유럽에서 전쟁을 원치 않는다"면서 "서방국과 대화를 이어갈 준비가 돼 있다"고 밝히고 있다. (C) AFP=뉴스1
하지만 푸틴 대통령의 주장은 열흘도 안 돼 거짓말이 됐다. 푸틴은 지난달 24일 러시아 현지시간 새벽 5시50분쯤 국영방송을 통해 우크라이나 군사작전을 승인한다는 긴급 연설을 했다.

벨라루스에서 철수하겠다던 군대는 그대로 남았고, 우크라이나 국방부와 주요 은행 웹사이트를 해킹하는 사이버전을 편 사실도 확인됐다. 국제사회에 우크라이나 침공 명분을 쌓으려고 상대방이 먼저 공격한 것처럼 조작하는 기만 수법인 '가짜 깃발작전(fales flag operation)'도 난무했다. 침공을 감행하기 수개월 전부터 우크라이나에 용병 300명을 들여 보내 교란작전을 벌인 정황도 공개됐다.



"주민 보호한다더니"…어린이병원·학교 무차별 폭격


[마리우폴=AP/뉴시스] 9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마리우폴에서 산부인과 병원이 러시아군의 포격을 받아 부상을 입은 임산부가 서둘러 대피하고 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아이들과 사람들이 병원 잔해에 깔려 있다"라며 이번 공격을 "잔혹 행위"라고 비난했다. 2022.03.10.
푸틴 대통령은 침공을 명령하면서 "우크라이나를 점령할 계획이 없다"고 못 박았다. 이번 군사작전의 유일한 목적은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도네츠크·루한스크) 일대 친러 성향 반군 밀집지역의 주민들을 보호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국경 3면(북·동·남)을 거침없이 넘어선 러시아군은 무차별 폭격을 17일째 이어가고 있다. 체르노빌·자포리자 등 대규모 원전 시설을 장악했고, 항구도시를 손에 넣으려고 쉬지 않고 공격하고 있다. 전기와 교역을 끊어 우크라이나군을 완전히 무력화하겠다는 의도로 읽힌다.

민간인들이 밀집해 있는 아파트·병원·학교 등도 가리지 않고 파괴했다. 특히 최근 어린이병원과 산부인과 등을 포격해 여성·어린이 등 무고한 민간인 사상자가 속출한 사실이 전해지면서 국제사회 비판이 더 거세졌다. 푸틴이 무슨 짓을 할 지 예측이 불가능한 '매드맨(미치광이)' 전략을 펴고 있다는 외신 분석이 잇따르는 것도 이 때문이다.

우크라이나 주민들이 루마니아 국경을 넘고 있다. /사진=블룸버그
우크라이나 때문에 협상이 깨졌다고 주장하거나, 민간인들이 탈출할 수 있도록 인도주의 통로를 마련하겠다고 해놓고 무자비한 공격을 멈추지 않는 기행도 반복하고 있다.

푸틴의 거짓말은 국제사회 뿐 아니라 러시아 국민들에게도 예외가 없었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 5일 "전쟁에 동원된 징집병은 한 명도 없으며 앞으로도 징집할 계획이 없다"고 단언했다. 지난 7일에도 이 같은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전쟁인 줄 모르고 우크라이나 땅을 밟았다가 전사하거나 포로로 붙잡힌 어린 병사들이 속출하면서 러시아 내 여론이 악화하자 이 같이 대응한 것이다. 하지만 지난 9일 러시아 국방부는 징집 사실을 인정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우크라이나를 점령할 계획이 없다던 푸틴 대통령은 미국이 제안한 모든 출구전략을 거부한 채 오히려 군사작전을 강화하고 있다"며 "그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가속 페달을 밟았고, 지금과 같은 끔찍한 길을 계속 걸어왔다"고 지적했다.

[키이우=AP/뉴시스] 우크라이나군에 포로로 잡힌 러시아 군인들이 5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키이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참석해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2.03.06.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김호중 '음주 뺑소니' 후폭풍…끈끈하던 개그 선후배, 막장소송 터졌다
  2. 2 '나혼산'서 봤는데…'부자언니' 박세리, 대전 집 경매 넘어갔다
  3. 3 "못생겼어" 싼타페 변신 실패?…대신 '아빠차' 등극한 모델은
  4. 4 군중 앞 끔찍한 전처 살해…"안 잡힐 자신 있다" 증발 16년째[뉴스속오늘]
  5. 5 3시간만에 수정된 '최태원 이혼 판결문'…"파기 사유도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