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전세도 너무 올랐어요"…월세로 내몰린 젊은 직장인들

머니투데이 배규민 기자 | 2022.03.08 10:09

서울 오피스텔 월세 시장에서 보증금이 월세 12개월치 이하인 '순수월세' 거래가 늘고 있다. 목돈 마련이 어려운 1~2인 가구 젊은 직장인 등이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1년 서울의 오피스텔 월세 거래 총 2만5607건 가운데 '순수월세'의 비중은 20.9%(5355건)로 집계가 시작된 2011년 이후 가장 높았다. 2011년 서울 오피스텔의 순수월세 거래비중은 10%(총 4755건 중 477건) 수준에 그쳤으나 이후 거래건수와 비중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순수월세 거래가 늘어난 데에는 주 임차수요인 젊은 직장인 등 1~2인가구 수요가 증가한 영향이 크다. 통계청의 추계가구 자료에 따르면 서울에서 가구주의 연령이 25~39세인 1~2인가구는 2011년 225만6799가구에서 2022년 246만1981가구으로 9.1% 증가했다. 대부분 젊은 수요자들은 목돈 마련이 어렵기 때문에 보증금이 낮은 순수월세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2021년 서울 오피스텔의 '준월세'(보증금이 월세의 12개월~240개월 구간) 거래비중은 69.4%(1만7778건)으로 직전 년도(70.9%, 1만8282건) 대비 감소해 70%선이 처음으로 무너졌다. '준전세'(보증금이 월세의 240개월치를 초과) 거래비중도 2020년 11.1%(2863건)에서 2021년 9.7%(2474건)으로 줄었다.


순수월세로 거주하는 세입자들의 주거 면적은 준월세와 준전세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았다. 2021년 한 해 동안 서울에서 월세 거래된 오피스텔의 주거 전용면적 평균을 살펴보면 △순수월세 24.3㎡ △준월세 25.0㎡ △준전세 29.0㎡로 집계됐다. 순수월세는 다른 월세 유형에 비해 보증금이 낮은 대신에 매달 지출하는 월세 부담이 크기 때문에 작은 면적을 선택한 것으로 분석된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높은 월세 부담은 자산 형성을 저해하기 때문에 저소득 월세가구에 대한 폭넓은 지원이 요구된다"면서 "교통이 편리한 지역에 양질의 공공장기임대주택 공급을 늘리는 한편 월세공제 확대와 저금리 정책 자금 지원이 보다 적극적으로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베스트 클릭

  1. 1 김호중 '음주 뺑소니' 후폭풍…끈끈하던 개그 선후배, 막장소송 터졌다
  2. 2 '나혼산'서 봤는데…'부자언니' 박세리, 대전 집 경매 넘어갔다
  3. 3 "못생겼어" 싼타페 변신 실패?…대신 '아빠차' 등극한 모델은
  4. 4 군중 앞 끔찍한 전처 살해…"안 잡힐 자신 있다" 증발 16년째[뉴스속오늘]
  5. 5 3시간만에 수정된 '최태원 이혼 판결문'…"파기 사유도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