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S 할아버지 나와도 망할 각"…휴대폰 매장에 발길 끊은 사람들

머니투데이 변휘 기자 | 2022.03.01 08:00

[MT리포트] 위기의 휴대폰 판매점 ① 휴대폰 가게, 발길이 줄었다

편집자주 | 국내 모바일 시장의 한축을 차지하던 휴대폰 유통업이 변곡점을 맞았다.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개통으로 기존 오프라인 유통망의 위상이 하락해서다. 또 알뜰폰 확산, 제조사간 경쟁 약화, 이통사의 탈통신, 일부 대리점 일탈도 이를 부추긴다. 고객들도 과거와 달리 온라인 개통에 익숙해졌다. 격변기를 맞은 이동통신 유통서비스의 개편 방향을 짚어본다.

'휴대폰 판매점'이 비명을 지르고 있다. 코로나19로 비대면 수요가 급증하면서 휴대폰 유통망의 무게추가 온라인으로 넘어갔고, 자급제 단말기 판매 확대, 휴대폰 제조사와 이동통신사가 판매장려금을 축소한 여파다.

최근 삼성전자의 플래그십 스마트폰 출시로 유통망의 '대목'이 기대됐지만, 판매업자들은 "갤럭시S22 할아버지가 나와도 소용없을 것"이라고 푸념한다. 일각의 '불법보조금'과 갖가지 탈법 사례로 업계를 바라보는 시선도 곱지 않다. 한때 30만명에 달했던 종사자는 수만명 규모로 줄었고, 점차 '고사' 위기에 내몰리는 흐름이다.

26일 리서치기관 컨슈머인사이트의 '휴대폰 구입 채널' 조사에 따르면, 작년 하반기 기준 '온라인·인터넷'에서 휴대폰을 구입한 소비자의 비중은 22%로 조사됐다. 지난 2015년 하반기 조사에서 온라인·인터넷 비중이 12%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7년 새 10%포인트(p) 늘었다. 4~5명 중 1명은 휴대폰을 구입할 때 판매점을 아예 찾지않는 셈이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쇼핑 트렌드에 더해 '자급제+알뜰폰' 조합을 선택하는 소비자가 늘어난 결과로 풀이된다. 실제 자급제 단말기를 구입한 후 알뜰폰 통신사에 별도 가입하는 경우 온라인 채널 이용이 절대적이었다. 작년 하반기 알뜰폰 가입자의 59%, 또 자급제 폰 이용자의 45%가 온라인에서 휴대폰을 샀다. 전체 휴대폰 구입자 중 온라인 비중이 22%인 것과 비교하면 2~3배에 달하는 수치다.

제조사도 자급제 판매 비중을 늘리는 추세다. 2018년 2월 국내 출시됐던 삼성전자 갤럭시S9의 경우, 9일 동안의 사전예약 중에서 자급제 판매 비중은 10%에 그쳤다. 반면 작년 1월 선보인 S21의 경우, 7일 간 사전예약에서 자급제 판매 비중은 30% 수준이었다. 갤럭시 S22 역시 자급제 비중이 더 늘어날 전망이다. 더욱이 자급제 판매에는 제조사 뿐만 아니라 소비자 접근성이 좋은 쿠팡 등 이커머스 업계도 대거 뛰어들었다. 휴대폰 유통망으로선 판매장려금이 없다시피 한 자급제 수요의 증가가 달갑지 않은 상황인데, 그마저도 대형 이커머스 등에 빼앗기는 것이다.


'황금기' 종사자만 20만여명…이제 '음지'로


서울 시내의 한 휴대폰 판매대리점. 2021.5.287/뉴스1
휴대폰은 전통적으로 오프라인 구매 비중이 높은 품목이다. 전국민이 1대 이상은 보유하는 필수재지만, 제품을 직접 보고 사야 한다는 통념과 함께 요금제가 다양하고 가입 서류가 복잡해서였다. 이에 따라 한때 휴대폰 판매점은 '망하지 않는' 창업 아이템이었다. 이에 매장도 우후죽순 들어섰다. 전국 대형 쇼핑몰 곳곳에는 휴대폰 집단상가도 조성되기도 했다. 서울 신도림과 구의동의 테크노마트, 용산 전자상가, 등이 대표적이다.

실제로 2009년 말 애플의 아이폰3GS 국내 출시 이후 스마트폰 열풍이 불면서 휴대폰 판매점들은 호황을 누렸다. 휴대폰 제조사와 이동통신 3사가 자사 제품 및 가입자 점유율을 늘리기 위해 경쟁적으로 판매장려금을 뿌렸기 때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2009년 말 1만1511곳이던 '휴대폰 판매점은 2014년 10월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단통법)' 시행 직후인 2015년 8월에는 1만8645곳까지 늘었다. 업계에선 당시 판매점 종사자가 20만명이 넘을 것으로 추산했다.


그러나 단통법 시행 후 판매점의 '먹거리'가 줄면서 양상이 달라졌다. 2018년 12월 기준 전국의 휴대폰 판매점은 1만7955곳으로 뒷걸음질했다. 판매업계 관계자는 "과거에는 규모가 큰 매장은 모객부터 가입안내와 서류 작업 등 나눠 맡으며 20여명의 직원이 일하는 곳도 많았지만, 최근에는 찾아보기 어렵다"면서 "벌이가 줄면서 매장의 덩치도 함께 줄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집단상가의 불황이 심각하다. 컨슈머인사이트 조사에서 휴대폰을 '집단상가'에서 샀다는 응답은 3%에 그쳤다.

최근에는 유동인구가 많은 상가에 대규모 매장보다는 오피스텔 등에 소규모로 자리잡는 경우가 많다. '밴드' '트위터' 등 소셜미디어와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모객을 하고, 이후 찾아오는 고객을 대상으로 최소한의 서류 절차만 처리하는 방식을 택하는 것이다. 이른바 '성지'를 내세우며 불법보조금을 뿌리는 행태도 이처럼 은밀한 공간에서 주로 횡행한다.

소규모 매장이 늘면서 오히려 작년 11월 기준 전국의 휴대폰 판매점은 1만9186곳으로 단통법 직후 '황금기'보다 500여곳 가까이 늘었다. 하지만 판매점마다 1~2인에 불과한 소규모 점포가 많아 업계에선 "전체 종사자는 수만명대로 쪼그라들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베스트 클릭

  1. 1 "중환자실 유재환, 산소호흡기 떼려고 몸부림 쳐"…모친이 전한 그 날
  2. 2 스시 시켰더니 '벌거벗은 여성'이… 사무라이 악습 따라한 대만
  3. 3 개미 팔아치웠더니 53% '껑충'…외인·기관만 웃었다
  4. 4 집주소도 털린 '밀양 가해자' 잠적?…"차도 없고 종일 불 꺼놔" 목격담
  5. 5 '쌍라이트' 조춘, 90세 된 근황 "목에 철심 12개…식물인간 될 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