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GB→1TB' 인터넷으로…메타버스 뒷받침할 환경 만든다

머니투데이 변휘 기자 | 2022.01.25 15:10

과기정통부, 통신3사·삼성전자와 5G-Adv·6G 개발 전략 논의

/사진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부가 메타버스, 디지털트윈, 웹 3.0 등 혁신 서비스를 감당할 수 있는 초광대역 네트워크 개발에 나선다. 현재 대세인 10Gbps 초고속인터넷의 용량은 1Tpbs급으로 100배 늘리고, 속도는 지금보다 100배 빠른 환경을 조성해 기술패권 경쟁과 디지털 전환을 뒷받침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진화된 5G, 위성통신과 연계된 6G, 양자통신 등 첨단 기술 개발에 총력을 기울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5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다산네트웍스에서 임혜숙 장관을 비롯해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통신3사와 삼성전자 등 핵심 기업, 민간 전문가 등이 참석해 '차세대 네트워크 발전 전략' 토론회를 열었다.

정부는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오는 2027년 모바일 트래픽이 약 370EB(엑사바이트)로 작년 대비 5배까지 증가할 것으로 봤다. 1EB는 1024PB(페타바이트), 104만8576TB(테라바이트)를 의미한다. 또 IoT(사물인터넷) 기기는 2025년 약 271억대로 작년 대비 2배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렇게 되면 현재 10Gbps(기술적 최대값 기준) 수준의 초고속인터넷 용량은 1Tbps까지 필요하고, 10ms 수준인 속도는 실시간 반응이 가능한 0.1ms 수준으로 빨라져야 한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특히 네트워크가 디지털 혁신을 촉진하는 핵심 기반(인프라)으로, 경제 안보적 관점에서 기술 패권 경쟁의 향방을 가를 '필수전략기술'이 됐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5G 세계 최초 상용화에 성공했던 한국의 네트워크 경쟁력 우위를 지속하기 위해 5G 백본망, 6G, 위성·IoT, 양자통신 등 네트워크 전반의 첨단 기술 개발을 본격화하기로 했다. 또 지상을 넘어 하늘과 바다에까지 촘촘한 네트워크 접근 환경을 조성하는 등 '세계 최고의 네트워크 혁신 국가'를 목표로 제시했다.

ETRI는 미래 미디어 서비스가 가상과 현실을 구분하기 어려운 경험과 '6 자유도'(6Degrees of Freedom, 6 DoF)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5G진화(현재 5G와 앞으로 나올 6G의 중간단계 표준)', 6G 핵심 부품·장비, 종단간 초저지연 기술, 초공간 네트워크 기술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간주했다.


또 SK텔레콤은 인공지능(AI)·메타버스의 본격적 확산과 함께 도심항공교통(UAM), 자율주행 등의 신규 통신 서비스 영역 확장을, KT는 지능형 네트워크 진화와 양자암호 기반 네트워크 보안성 강화 및 위성망 연동 기반 연결성 확대를, LG유플러스는 네트워크 서비스 공간 확장과 고객 가치 기반의 서비스·품질확보·상생 등이 상호 연계·발전하는 방안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삼성전자는 5G 핵심 칩 개발을 내재화하고 독보적인 SW 역량을 갖추는 등 기술 선도를 위한 노력에 앞장서고, 앞으로 차별화된 솔루션을 통해 개인의 일상과 각종 산업에서 국가 기간망인 네트워크의 역할을 확대하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임 장관은 "정부는 민관 협력을 통해 차세대 네트워크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우리 네트워크 경쟁력의 우위를 지속해서 유지하겠다"라고 말했다.

베스트 클릭

  1. 1 "두 번의 임신 빌미로 금전 요구"…허웅, 전 여친 고소한 이유
  2. 2 감자 캐던 소녀, 큐대 잡더니 '국민영웅' 됐다…"한국은 기회의 땅"[인터뷰]
  3. 3 '합의 거절' 손웅정 "손흥민 이미지 값이라며 수억 요구…돈 아깝냐더라"
  4. 4 "물 찼다" 이 말 끝으로…제주 간다던 초5, 완도에서 맞은 비극[뉴스속오늘]
  5. 5 300만원 든 지갑 돌려준 노숙자, 돈벼락 맞았다…"수천만원 돈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