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향대, '제3회 대사질환 국제 심포지엄' 열어

머니투데이 권현수 기자 | 2021.11.15 14:11
순천향대학교 대사질환조직항상성연구센터는 최근 천안 소노벨리조트에서 제3회 대사질환 국제 심포지엄을 진행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인슐린 발견 100주년을 맞아 최신 당뇨병 치료 정보 및 연구 동향을 공유하고 글로벌 교류 협력을 도모하고자 마련됐다.

순천향대는 당뇨병 연구를 선도하는 9개국, 12명의 세계적 석학을 초청해 'Metabolism Research around the World'를 주제로 행사를 열었다. 온라인으로 전 세계에 생중계됐다.

행사는 세계적 권위를 자랑하는 당뇨병 전문기관인 하버드 의과대학 조슬린 당뇨병센터(Joslin Diabetes Center) 수석 학자 Ronald Kahn 박사의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국가별(북미, 아시아·오세아니아, 유럽) 3개 세션의 발표가 진행됐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토론토대 Daniel Drucker 교수 △콜롬비아대 Domenico Accili 교수 △캘리포니아대 Mark Anderson 교수 △워싱턴 의과대학 Samuel Klein 교수의 주제 발표가 이뤄졌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순천향의생명연구원 이종순 교수 △도쿄대 Takashi Kadowaki 교수 △상해과학기술대 Zhijie Liu 교수 △모내시대 Mark Febbraio 교수의 발표가 이어졌다.


마지막 세 번째 세션은 △막스플랑크연구소 Jens C. Bruning 박사 △뮌헨 공과대 Matthias Tschop 교수 △카롤린스카연구소 Juleen R. Zierath 박사의 발표를 끝으로 심포지엄이 마무리됐다.

특히 '비만과 제2형 당뇨병에 대한 새로운 치료 전략'을 주제로 기조강연을 맡은 Ronald Kahn 박사는 유도만능줄기세포(iPSCs)를 이용한 당뇨병 치료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그는 이전에 인식하지 못했던 광범위한 신호 전달체계의 문제가 제2형 당뇨병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 치료를 위한 신약 개발에 새로운 방법을 제시해 주목받았다.

이종순 대사질환조직항상성연구센터장은 "이 심포지엄은 대사질환 치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함께 모색하는 의미있는 자리"라며 "변화된 대사질환 연구 환경과 새로운 연구 동향을 확인하고 앞으로의 100년을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이 됐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순천향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충청남도, 천안시,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지역혁신선도연구센터(RLRC)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대사질환조직항상성연구센터(MHRC, Metabolic Disease Tissue Homeostasis Research Center)를 운영하고 있다. 지역 기반의 지속 가능한 자생적 혁신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4. 4 "참담하고 부끄러워" 강형욱, 훈련사 복귀 소식…갑질 논란 한 달만
  5. 5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