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도시가스 요금, 추석 연휴 끝나면 줄줄이 오르나

머니투데이 유효송 기자 | 2021.09.12 16:49
지난 6월 서울의 한 다세대 주택에 설치된 전기계량기에 숫자가 표시되고 있다/사진=뉴스1
그동안 동결됐던 전기·도시가스 요금이 추석 연휴 이후부터 오를 가능성이 나왔다. 전력 생산에 사용되는 연료탄 가격이 오르고 LNG(액화천연가스) 가격이 급등하면서 인상을 부추기고 있다.

12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전력에 따르면 추석 연휴 이후인 이달 23일에 4분기(10~12월) 전기요금 인상 여부를 결정한다.

그동안 정부는 코로나19(COVID-19) 장기화에 따른 국민 경제 생활 어려움 등을 고려해 원가 압박에도 공공요금을 묶어왔다. 정부는 올해 연료비 연동제를 도입한 이후 2분기와 3분기 연속 전기 요금을 동결했으나 4분기에는 인상에 무게를 싣고 있다. 조정 요금은 최대 kWh(키로와트시)당 5원 범위에서 직전 요금 대비 3원까지만 변동된다.

다음 달 1일부터 적용되는 4분기 전기요금은 지난 6~8월 전기 생산에 들어간 연료비를 토대로 결정되는데 이 기간 연료비가 올랐기 때문이다. 전력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큰 전력용 연료탄은 올 초 톤(t)당 90달러대에서 지난 5월에는 123달러까지 올랐다. LNG 가격에 시차를 두고 반영되는 국제유가(두바이유)도 올해 2분기 평균 67달러로 전분기(60달러)보다 상승했다.


한전의 적자가 커지고 있다는 점도 요금 인상을 부르는 요인이다. 한전은 연료비 인상분을 전기요금에 반영하지 못해 올 2분기에 7000억원이 넘는 영업손실을 냈다. 2019년 4분기 이후 6분기 만에 적자다.

도시가스 소비자 요금도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도시가스 소매요금은 가스공사 도매요금에 연동된다. 이 도매요금은 요금의 약 80%를 차지하는 원료비에 따라 결정되는데 국제 유가나 환율 등이 원료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올해 상반기 내내 가파르게 상승한 유가로 인해 원료비가 올랐음에도 정부는 9월 주택용·일반용 도시가스 요금을 동결했다.

도시가스 사용량이 증가하는 겨울철을 앞두고 있어 정부에는 부담이 될 수 있지만 치솟는 원가 상승 등 인상 요인이 수개월째 누적된 만큼 더는 요금을 억제할 수 없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베스트 클릭

  1. 1 "정준영은 어둠의 자식"…과거 절친 인터뷰 재조명
  2. 2 "지하철서 지갑 도난" 한국 온 중국인들 당황…CCTV 100대에 찍힌 수법
  3. 3 김호중, 뺑소니 피해자와 합의했다…"한달 만에 연락 닿아"
  4. 4 괴로워하는 BTS 진…'기습뽀뽀' 팬, 결국 성추행 고발 당했다
  5. 5 한국 연봉이 더 높은데…일 잘하는 베트남인들 "일본 갈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