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면 안됩니다" 참모진 반대에 文대통령 訪日 뜻 접었다

머니투데이 정진우 기자 | 2021.07.20 06:20

[the300]결국 '막말 파문'에 결렬 한일정상회담…"청와대도 돌아섰다"

[서울=뉴시스] 박수현 국민소통수석이 19일 오후 청와대 브리핑룸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도쿄올림픽 계기 방일을 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과 관련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 2021.7.19. photo@newsis.com

청와대는 문재인 대통령의 방일과 한일정상회담에 대해 끝까지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았다. 일본 정부가 자국 언론을 통해 양국 정상회담이 열릴 것이라고 수차례 보도했을때도 "확정된 것 없다"며 말을 아꼈다.

청와대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우리 외교당국과 일본 정부는 물밑에서 정상회담 성사를 위해 협의를 진행하고 있었다. 문제는 '성과'였다. 우리가 내세운 성과는 △위안부·강제징용 문제 △일본의 수출규제 문제 △후쿠시마 오염수 방출 문제 등 크게 세가지로 알려졌다. 이 세개 문제 중 최소 한개 정도는 일본이 정상회담때 해결책을 내놔야 성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는 게 청와대의 생각이다.

이를 놓고 양측이 기싸움을 벌이던 지난 13일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파문이 터졌다. 일본 정부가 '2021년 방위백서'를 통한 독도 영유권을 주장한 것이다. 이틀 뒤인 15일엔 더 큰 논란이 벌어졌다.

소마 히로히사 주한 일본대사관 총괄공사가가 한 언론사와 가진 면담에서 "일본 정부는 한국이 생각하는 것만큼 한일문제에 신경 쓸 여유가 없다"며 "문 대통령이 마스터베이션(자위행위)을 하고 있다"는 막말을 했다. 이 발언이 알려진 이후 여야 할 것 없이 정치권에선 일본 측에 사과를 요구하는 등 후폭풍이 일었다.

청와대는 이번 사안을 엄중히 주시하고 있다며 불쾌감을 드러냈다. 정치권에선 "이런 상황에서 한일정상회담을 해선 안된다"는 얘기가 나올 정도였다. 국민 여론 역시 계속 나빠졌다. 청와대내 기류가 문 대통령 일본 방문에 부정적으로 바뀐게 이때다.

일본 정부는 4일이 지난 19일 공식 입장을 내놨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가토 가쓰노부 관방장관이 문재인 대통령을 향해 성적인 표현을 사용해 물의를 일으킨 소마 히로히사 주한 일본대사관 총괄공사의 발언과 관련해 유감을 표명했다. 가토 장관은 이날 오전 정례 브리핑에서 소마 공사의 발언에 대해 "어떠한 상황이나 맥락 하에서 행해진 것이든 외교관으로서 매우 부적절한 발언"이라며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서울=뉴시스] 김명원 기자 = 일본 방위성이 발간하는 '방위백서'에 올해도 독도 영유권을 주장한 가운데, 소마 히로히사 주한 일본대사관 총괄공사가 1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외교부에 초치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2021.07.13. photo@newsis.com
소마 공사의 경질 가능성에 대해서는 "아이보시 고이치 주한 일본대사가 엄중 주의를 준 것으로 알고 있다"며 "모테기 도시미쓰 외무장관이 근무지에서의 재임기간 등을 고려해 적재적소의 관점에서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일본의 무성의한 태도가 양측 협의에 찬물을 끼얹은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소마 공사의 막말은) 용납하기 어려운 발언이었다"며 "국민 정서를 감안해야 했고, 이후 청와대 내부 분위기도 회의적으로 변화했다"고 말했다.

실제 이날 오후 2시 문 대통령 주재 수석·보좌관회의를 마친 후 3시20분쯤부터 참모진들은 마지막 관련 회의를 열었다. 유영민 비서실장과 서훈 국가안보실장, 이철희 정무수석, 박수현 국민소통수석, 박경미 대변인 등 8명이 모였다. 의견은 반대로 기울었고 유 실장, 서 실장, 박 수석이 문 대통령에게 보고를 하기 위해 나섰다.

문 대통령은 "지금 상황에서 일본에 가시면 안된다"는 이들의 보고를 받은 후 "아쉽다. 정말 아쉽다"며 "한일정상 간 또 다른 만남이 이어지길 기대한다. 앞으로 더 (많이 일본과) 이야기를 해나가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문 대통령의 결정 직후, 박 수석은 오후 5시15분 언론에 문 대통령의 방일 불참 소식을 알렸다.

청와대 관계자는 "일본 정부가 이번 사안의 심각성을 인식하여 주한일본 대사가 매우 유감스럽다는 공식 표명에 이어 오늘 오전 일본 정부 차원에서 관방장관이 기자회견을 통해 매우 유감스럽다고 발표한 것에 주목한다"며 "일본 정부는 적절한 후속 조치를 조속히 취해야 할 것이고 향후 이러한 불미스러운 일이 재발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청와대는 추후 한일 정상회담 추진 가능성 및 별도의 대화 계획에 대해서도 입장을 내놨다. 이 관계자는 "한일 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해 이번 정부 임기 말까지 계속 일본과 대화 노력을 해 나가고자 한다"며 "한일 정상 간 만나게 될 기회가 있기를 바란다. 이번이 좋은 기회로 기대를 했는데 아쉬움이 크다"고 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김호중 '음주 뺑소니' 후폭풍…끈끈하던 개그 선후배, 막장소송 터졌다
  2. 2 '나혼산'서 봤는데…'부자언니' 박세리, 대전 집 경매 넘어갔다
  3. 3 "못생겼어" 싼타페 변신 실패?…대신 '아빠차' 등극한 모델은
  4. 4 군중 앞 끔찍한 전처 살해…"안 잡힐 자신 있다" 증발 16년째[뉴스속오늘]
  5. 5 "살결 부드러워"… BTS 진에 '기습뽀뽀' 한 일본팬, 뻔뻔한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