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하반기, 집값 오른다"…10명 중 6명 '상승'에 베팅

머니투데이 방윤영 기자 | 2021.06.24 20:35
2021년 하반기 주택가격 전망 /사진=부동산114
올해 하반기에도 집값이 상승한다는 예상이 우세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락을 예상한 사람은 전체의 7%에 불과했다.

24일 부동산114가 발표한 '2021년 하반기 주택시장 전망'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10명 중 6명(62%)이 하반기에 집값이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상반기 70%였던 것과 비교하면 다소 줄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하반기 주택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 이유로는 '서울 등 수도권 아파트 가격이 상승'(42%)이 주된 요인으로 꼽혔다. 올해 상반기 서울과 경기, 인천이 시세 상승을 주도한 결과로 풀이된다.

이어 '서울 등 주요 도심의 공급부족 심화'(22%), '덜 오른 지역에 대한 풍선효과'(11%), '선거(대선) 앞두고 정책 기대 강화'(6%), 'GTX 등 광역교통망 개선 기대'(4%) 등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하락을 전망한 응답자는 전체의 7%에 그쳤다. 부동산114가 2008년부터 조사를 시작한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2019년 상반기 '하락 전망'이 32%였던 것과 비교하면 큰 폭으로 축소됐다.

하락을 예상한 이유로는 '대출 금리 인상 가능성'(34%)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 부담에 따른 거래 부족' 요인을 꼽은 응답자고 28%에 달했다. 이외에 '대출 규제로 매수세 약화'(11%), '임대사업자 및 다주택자 매물 증가'(9%), '사전청약 및 공공주택 공급 기대'(5%) 등으로 조사됐다.

전세 시장 전망에서는 더 극명하게 갈렸다. 10명 중 7명(77%)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락할 것으로 본 응답자는 4%에 불과했다.


전세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상한 응답자 중 23%는 '서울 등 인기지역의 입주물량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매수심리 위축으로 전세수요가 증가하기 때문'이라는 답변도 23%를 차지했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전세가격은 거주 수요와 직접 연결돼 있어 주요 지역에서 물량 축소는 시장 안정에 어려움을 주는 요인이 된다"고 분석했다.

이외에도 '임대차3법 시행 영향'(23%), '임대인의 월세 선호로 전세 공급 부족'(17%), '청약(사전청약)을 위한 일시적 전세 거주 증가'(7%) 등이 전세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거론됐다.

하반기 집값 움직임의 핵심 변수는 '대출·세금 등 정부의 부동산 규제 지속 여부'(27%)로 지목했다. 정부가 무주택자 실수요자에 대해서는 다음달부터 LTV(주택담보인정비율) 규제를 완화할 예정이고, 양도소득세와 종합부동산세 기준 상향도 논의 중이다. 규제 강화 기조에서 한 발 물러나면서 시장에서도 기대감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설문조사는 지난 1일부터 15일까지 전국 71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신뢰수준 95%에서 ±3.66%포인트다.
2021년 하반기 부동산 시장 주요 변수 /사진=부동산114

베스트 클릭

  1. 1 "김호중, 징역 3년 이상 나올 듯…바로 합의했으면 벌금형"
  2. 2 "의대 증원 반대" 100일 넘게 보이콧 하다…'의사 철옹성'에 금갔다
  3. 3 김호중 구치소 식단 어떻길래…"군대보다 잘 나오네" 부글부글
  4. 4 반격 나선 유영재, 전관 변호사 선임…선우은숙 측 "상상도 못해"
  5. 5 유흥업소에 갇혀 성착취 당한 13세 소녀들... 2024년 서울서 벌어진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