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게임 업계가 코로나19(COVID-19)에 따른 비대면 특수로 역대급 실적을 거뒀지만, 그렇다고 마냥 웃지 못하는 처지다. 여권의 ‘이익공유제’ 도입 논의에 촉매제 역할을 할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
비대면 사업 호황으로 실적 잔치…‘자율’이라지만 ‘반강제’로 해석━
이에 앞서 실적을 발표한 네이버와 엔씨소프트도 지난해 역대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네이버의 경우 쇼핑·콘텐츠·핀테크 등 비대면 사업들이 호실적을 견인했으며, 엔씨소프트도 비대면 확산으로 게임 이용률이 크게 늘면서 연 매출 2조원을 넘겼다.
유례없는 실적에도 테크 기업들의 표정은 내심 밝지 않다. 최근 여권이 논의 중인 ‘이익공유제’ 때문이다. 코로나19에도 성장한 기업의 초과 수익으로 소상공인 등 취약계층을 돕자는 취지로 ‘이익공유제’가 논의 중인데, 그 적용 대상 기업으로 금융권과 함께 네이버·카카오·배달의민족·쿠팡 등 플랫폼 기업들이 거론되고 있다. 실효성 논란이 제기면서 이익공유제를 기업에 강요하지 않고,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겠다고 한발 빼는 모양새이지만, 포털·게임업계가 받아들이는 압박 강도는 다르지 않다. 아무리 자율이라지만 정부의 눈치를 안 보고 국내 사업을 영위할 수 있겠냐는 게 이들의 시각이다. 방송통신위원회와 공정거래위원회 등 정부와 여권이 경쟁적으로 온라인플랫폼 규제법안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도 부담이다.
━
“상생 얼마나 더 해야 하나”…정부에 찍힐까 목소리 내기도 부담━
넥슨과 엔씨소프트 역시 수십억의 코로나 성금을 기부하고, PC방 소상공인 사업주들을 지속 지원하는 등 상생에 동참했다. 특히 이들 업계는 비대면으로 수혜를 입은 만큼 채용을 확대하고 임직원들과 과실을 나누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인터넷 게임업계는 코로나가 확산했을 당시 선제적으로 소상공인 지원에 나섰다”며 “상생 활동 외에도 번 만큼 법인세로 더 내고 있는데 어떤 기준과 근거로 이익을 더 공유하라는 건지 의문”이라고 토로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