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도 집값 급등…'서울 집중' 한국과는 다르네

머니투데이 김주동 기자 | 2021.01.06 05:40
최근 미국 부동산시장도 들썩이는 가운데 중소도시가 가격 상승세를 이끄는 것으로 조사됐다. 재택근무를 하는 회사가 늘어 북적이는 곳을 벗어나는 사람들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가격이 적정했던 곳의 집값마저 뛰면서 내집마련은 더 어렵게됐다.

/사진=AFP
S&P 코어로직 케이스-실러 주택가격 지수에 따르면 지난 10월 미국의 집값은 전년 대비 8.4% 올랐다. 6년 사이 최대폭이다. 앞선 9월의 상승률(7%)보다도 더 컸다.

특히 피닉스(애리조나주) 12.7%를 비롯해 시애틀, 피츠버그, 오스틴 등 중소도시의 상승률이 높았다. 같은 주에서도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조용한 곳이 인기다.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에서는 엘도라도 카운티(지역 단위)가 지난해 주택 거래가 41% 급증하며 4분기에만 전년비 18% 집값이 올랐다.

코로나19 사태로 사무실 밖 근무가 가능해지면서 집값이 낮거나 주별 세금이 적은 곳으로 이동하는 수요가 확대된 것이 이유로 꼽힌다.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역대 최저 수준인 점도 구매를 뒷받침했다. S&P 다우존스 지수의 크레이그 라자라 상무는 4일(현지시간) CNBC에서 "지난 몇 달 데이터는 코로나19가 주택 수요를 도심에서 교외로 옮기도록 했다는 견해와 맞아떨어진다"고 말했다.

인구 분산으로도 해석할 수 있지만 비싸지 않았던 지역의 부동산 가격이 오르면서 미국도 내집마련이 더 어려워졌음을 보여주는 보고서도 나왔다.


4일 마켓워치는 부동산정보업체 애톰(ATTOM)데이터솔루션스를 인용해, 미국 내 조사대상 499개 지역 중 55%는 평균 소득 수준으로 감당하기 어렵다고 보도했다. 1년 전 조사에선 이 수치가 43%, 3년 전에는 33%였다. 애톰은 담보대출상환금·세금 등 부동산 비용이 소득 28%를 넘지 않는지 등을 따져 집값의 적정도를 평가한다.

90% 지역의 집값 상승률은 임금 상승률을 앞지른 상황이다. 블리클리 투자자문그룹의 피터 부크바 상무는 CNBC에 "집값 상승이 대출금리 인하분을 완전히 상쇄하고 있다"며 "첫 주택 구매자에게는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금리가 당분간 오르지 않을 전망이고 조 바이든 차기 정부는 돈을 풀 예정이어서 대체로 전문가들은 집값 상승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본다. 렌딩트리의 텐다이 카피제 수석 경제학자는 경제가 회복돼도 노동시장 회복은 더딜 것이라면서, 이로 인한 소득 감소가 집값을 누르는 요인이라는 의견도 냈다.

베스트 클릭

  1. 1 김호중 '음주 뺑소니' 후폭풍…끈끈하던 개그 선후배, 막장소송 터졌다
  2. 2 '나혼산'서 봤는데…'부자언니' 박세리, 대전 집 경매 넘어갔다
  3. 3 "못생겼어" 싼타페 변신 실패?…대신 '아빠차' 등극한 모델은
  4. 4 군중 앞 끔찍한 전처 살해…"안 잡힐 자신 있다" 증발 16년째[뉴스속오늘]
  5. 5 "살결 부드러워"… BTS 진에 '기습뽀뽀' 한 일본팬, 뻔뻔한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