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식 등록 앞둔 P2P업계···금융기관 투자자 모시기 분주

머니투데이 김세관 기자 | 2021.01.03 07:04
삽화=임종철 디자이너 / 사진=임종철
제도권 진입을 앞둔 P2P(온라인투자연계금융) 업체들과 금융기관들과의 협업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온투법)’은 P2P업체와 기존 금융기관이 함께 투자 상품 등을 내놓을 수 있도록 허용한다. 이르면 내년 초 정식 P2P업체가 등장한다. P2P업체들과 금융기관들과의 접촉도 늘고 있다.

31일 금융당국과 업계에 따르면 P2P업체 피플펀드와 8퍼센트, 렌딧 등 3곳이 최근 금융감독원의 사전면담 절차를 마치고 금융위원회에 등록 신청서를 제출했다. 금융위 승인을 받으면 1호 제도권 P2P업체가 탄생한다. 1호 P2P업체 탄생 시기는 내년 2월쯤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정식 등록 절차에서 가장 앞서가고 있는 해당 업체들과 기존 금융기관들과의 제휴 움직임이 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대출잔액 기준 업계 1위인 피플펀드의 경우 주로 여신전문금융회사나 저축은행 등과 함께 중금리 대출 상품 출시를 위한 컨소시엄 구성을 추진 중이다.

기관투자자의 P2P 투자 상품 참여의 경우 상품 당 투자비율이 대출 금액의 40%로 제한된다. 조건이 맞는 기관들을 묶는 과정을 거칠 수밖에 없다. 이를 위해 다양한 국내외 금융기관과 논의를 진행 중이다. 법정 최고금리 인하 등으로 추가 수익 확보가 필요한 2금융권 기업들이 중금리 대출 등 새로운 사업 기회 확보를 위해 적극적으로 대화에 나서고 있다는 게 피플펀드의 설명이다.

아울러 8퍼센트도 P2P 정식업체 등록에 대비해 그동안 은행, 증권 보험 등 다수의 금융기관과 접촉해 왔다고 밝혔다. 정식 등록을 마치고 본격적인 영업에 들어가게 되면 금융기관 투자 비중을 절반 이상으로 끌어 올린다는 방침이다. 렌딧 역시 다양한 금융 기관들과 꾸준히 접촉하며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국내 금융기관 뿐 아니라 해외 기관투자자 유치 노력도 활발하다. 투자 규모가 상대적으로 크고 이미 P2P 시장이 활성화 된 국가들에서의 제휴 경험이 적지 않아 투자 현실화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판단이다.


실제로 케임브리지 대체금융 연구소(CCAF)가 4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말 기준 전세계 대체금융 투자자 중 72%가 기관투자자였다. 투자 기관 종류는 은행, 신탁, 증권사, 투자매매업 등 다양하다. 피플펀드 관계자는 “국내 뿐 아니라 해외 기관투자자와의 협업도 지속 추진하고 있다”며 “해외 기관투자자들은 이미 투자 이력들이 적지 않아 P2P 투자에 더 익숙해 한다”고 말했다.

국내 P2P업체들이 정식등록에 대비해 이처럼 국내외 기관투자자 접촉에 나서고 있는 건 업계 전체 규모를 키우고, 더 안전한 상품을 함께 출시해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는 기대 때문이다.

그동안 국내 P2P 투자 상품은 개인투자자에 의존했다. 그러나 온투법 하에서는 신용대출 상품에 개인이 총 3000만원 밖에 투자할 수 없다. 반면 금융기관 등 기관투자자는 한도가 없다. 또 투자 리스크 분석 노하우가 많은 금융기관들이 투자한 상품은 그만큼 검증을 거쳤다는 평가도 받을 가능성이 높다.

P2P업계 관계자는 “많은 금융기관들이 실무 검토 이후 최종 결정에서 제도권이 아니라는 이유로 투자를 보류해 왔었다”며 “지금까지 개별 P2P 금융 플랫폼의 월간 취급액은 수십~수백억 규모였지만 금융기관들의 시장 참여가 시작되면 취급액이 전례없는 규모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베스트 클릭

  1. 1 유재환 수법에 연예인도 당해…임형주 "돈 빌려 달라해서 송금"
  2. 2 "나랑 안 닮았어" 아이 분유 먹이던 남편의 촉…혼인 취소한 충격 사연
  3. 3 "역시 싸고 좋아" 중국산으로 부활한 쏘나타…출시하자마자 판매 '쑥'
  4. 4 "파리 반값, 화장품 너무 싸"…중국인 북적대던 명동, 확 달라졌다[르포]
  5. 5 "현금 10억, 제발 돌려줘요" 인천 길거리서 빼앗긴 돈…재판부에 읍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