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재활용 더 많이"…EU 새 배터리 기준, 한국에 미칠 영향은?

머니투데이 김성은 기자 | 2020.12.12 08:00

EU, 탄소발자국 공개 원칙…국내 배터리업계도 EU 기준 적극 대응

/사진=AFP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탄소 중립' 목표 조기 달성을 위해 '지속 가능한' 2차 전지 기준을 제안해 눈길을 끈다. 아직 '의무'가 아닌 '제안' 단계로 입법화 전이지만 전기차 판매가 빠르게 늘고 있는 유럽에서 배터리 점유율을 넓히려면 한국 기업들도 면밀한 대응이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EU 집행위원회는 최근 급증하는 2차 전지 수요를 저탄소 공정과 재활용 재료를 활용해 좀더 친환경 배터리로 대체할 수 있도록 새로운 규정들을 제시했다. 이 제안은 아직 의무조항은 아니며, 앞으로 법적 구속력을 얻으려면 EU 회원국 각각의 의회 승인을 거쳐야 한다.

EU 배터리 '지속가능한 탄소발자국' 표시해야

마로스 세프코비치 EU 집행위 부위원장은 지난 10일(현지시간) 로이터와 인터뷰에서 "유럽에서 출시하는 배터리들은 생산국과 상관없이 지속 가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럽에서 판매·유통하는 배터리라면 앞으로 새로운 규정을 지켜야 한다는 의미다.

이 제안에 따르면 앞으로 유럽에서 판매하는 충전 가능한 전기차 및 산업용·휴대용 배터리는 모두 2024년부터 탄소발자국을 공개해야 한다. 탄소발자국이란 상품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전체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총량을 말한다. 2027년부터 일정 수준 이하로 탄소발자국 상한선을 정할 방침인데, 전기차 배터리도 이 상한선은 반드시 지켜야 한다.

이번 EU 제안에 따르면 배터리 주재료도 일정 부분 재활용 원료를 사용해야 한다. 이는 금속 채굴 과정에서 벌어지는 인권과 환경 훼손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포석이다.

자료사진으로 기사의 직접적인 내용과는 무관/사진=AFP


EU 집행위, 폐배터리 수거 비율도 크게 높일 듯

EU 집행위원회는 특히 2030년 1월부터 배터리에 사용하는 코발트는 12%, 리튬은 4%, 니켈은 4% 등 반드시 재활용 원료를 쓰도록 제안했다. 이 비율은 점차 높아져 2035년 1월부터는 코발트 20%, 리튬 10%, 니켈 12%로 강화될 전망이다.


EU는 전기차용 배터리에 들어가는 리튬에 대한 수요가 2030년까지 현재의 18배, 코발트 수요는 5배 더 늘어날 것으로 본다. 또 2050년까지 리튬 수요는 현재보다 60배, 코발트 수요는 15배 커질 것이라는 추산이다.

EU는 재료 재활용 비율을 높이기 위해 폐배터리 수거 비율도 높일 계획이다. 현재 폐배터리 수거율이 45% 정도지만 이를 2025년까지 65%, 2030년까지 70%로 높인다는 목표다.

EU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각종 정책들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이번 제안 역시 이 같은 목표를 조기에 달성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국내 배터리업계, EU 환경규제 적극 준비

국내 배터리 업계는 그동안 EU가 각종 환경규제 강화 정책들을 내놓았던 만큼 이에 적극 대비해 왔다는 설명이다. 예컨대 SK이노베이션은 전기차 폐배터리 양극에서 수산화리튬을 회수하는 기술을 상용화할 수 있게 현재 연구 개발을 하고 있다. 이르면 올해 연말 기술 개발을 완료할 전망이다. 리튬을 고순도 수산화리튬 형태로 회수하는 게 가능해지면 니켈과 코발트 등 핵심 원재료도 이전보다 더 고순도로 추출할 수 있게 된다.

SK이노베이션은 자체적인 '5R'(Repair, Rental, Recharge, Reuse, Recycling) 전략을 수립해 이미 파트너사들과 함께 배터리 생애 주기를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다. 최근 SK이노베이션은 그룹 관계사들과 함께 글로벌 캠페인 'RE100'에도 가입했다. 이는 기업이 2050년까지 사용 전력의 100%를 풍력과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로 조달한다는 뜻이다.

LG화학도 LG에너지솔루션의 분할 전인 지난 7월 '2050 탄소중립 성장'을 핵심으로 지속 가능성 전략을 발표하며 전 세계 모든 사업장을 대상으로 'RE100'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또 고객사에 납품했던 배터리를 수거해 잔존 수명을 예측하는 기술을 연구 개발하고, 재사용 배터리로 만든 전기차 충전소용 ESS(에너지저장장치) 시범시설도 예고했다.

다만 전기차나 배터리 제조 업체를 대상으로 매년 강화될 EU의 탄소발자국 공개 정책에 대해서는 우려의 목소리도 들린다. 한 업계 관계자는 "중국에서 제조한 배터리를 미국이나 유럽으로 항공이나 선박으로 운송할 때 그 과정에서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량도 만만치 않아 전 세계 곳곳에 공장을 짓지 않는 이상, 이를 어떻게 줄일지 배터리 업체들에겐 큰 숙제"라고 밝혔다.

베스트 클릭

  1. 1 '선우은숙 이혼' 유영재, 노사연 허리 감싸더니…'나쁜 손' 재조명
  2. 2 "유영재, 선우은숙 친언니 성폭행 직전까지"…증거도 제출
  3. 3 장윤정♥도경완, 3년 만 70억 차익…'나인원한남' 120억에 팔아
  4. 4 '돌싱'이라던 남편의 거짓말…출산 앞두고 '상간 소송'당한 여성
  5. 5 수원서 실종된 10대 여성, 서울서 20대 남성과 숨진 채 발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