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백신 사망 벌써 9건…'아나필락시스' 부작용이란

머니투데이 최태범 기자 | 2020.10.22 05:00
아나필락시스 /사진=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독감(인플루엔자) 백신을 접종한 뒤 사망한 사례가 21일 오후 2시 기준 9건 확인됐다. 질병관리청이 조사한 6건은 백신 접종과의 직접적인 인과성이 확인되지 않았고, 2건은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 가능성이 제기됐다.

질병관리청은 나머지 신고사례에 대해서도 부검 결과와 의무기록 조사 등 추가 조사를 통해 인과관계를 확인하기로 했다.

아나필락시스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특정 항원에 대해 항체가 과민하게 반응하는 현상이다. 극소량만 접촉하더라도 전신에 증상이 나타나는 심각한 알레르기(쇼크) 반응이다. 즉시 치료하면 큰 문제없이 회복될 수 있지만 치료가 늦어지면 치명적일 수도 있다.

음식물 섭취나 약물 투여, 곤충에 물린 경우, 운동, 혈액 투석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아나필락시스가 나타날 수 있다. 비교적 건강했던 사람이 특정 물질에 노출된 후 급속하게 증상이 나타나면 아나필릭시스 가능성이 있다.

주요 증상은 가려움, 발진, 코 막힘, 콧물, 재채기, 기침 등이다. 또 호흡곤란, 가슴 답답함, 쌕쌕 소리, 목소리가 쉬는 증상도 있다. 심혈관 증상으로는 가슴통증, 저혈압, 심장마비가 있다. 심한 경우 심장마비로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갑각류 알레르기가 있던 여성이 새우를 먹은 남자친구와 입맞춤을 했다가 입술과 목이 붓고 온몸에는 두드러기가 났으며 복부 경련·구토·호흡 곤란까지 나타나 응급실에 실려 온 사례도 있다.

아나필락시스의 가장 큰 문제는 어떤 사람이 특정 물질에 어떤 반응을 일으킬지 사전에 예측할 방법이 없다는 점이다. 과거 같은 물질에 노출됐을 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켰던 병력이 있어야 예측 가능하다.

응급치료법은 심장박동과 호흡 수를 늘리는 에피네프린을 주사하는 방법이다. 아나필락시스 환자는 휴대용 에피네프린 주사를 갖고 다니다가 반응이 발생하면 재빨리 스스로 약물을 주사하도록 교육받는다.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4. 4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
  5. 5 "참담하고 부끄러워" 강형욱, 훈련사 복귀 소식…갑질 논란 한 달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