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코로나·신장 "中싫다"...세계 반중정서 역대 최고

머니투데이 임소연 기자 | 2020.10.17 08:30
인도 반중국 시위/사진=로이터

중국의 호전적 일방주의와 코로나 팬데믹 등이 겹치며 전 세계가 중국에 등을 돌리는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시진핑 국가주석의 '중국몽'과 중국인 인식 뿌리에 있는 중화사상이 노골화하면서 외부 저항에 부딪히는 것이다.

우선 중국의 부상으로 가장 큰 위협을 느끼는 미국이 앞장서서 초당적인 '대중 압박 정책'을 펼치고 있다.

7월 말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센터가 내놓은 조사 결과를 보면 중국을 ‘비호감’으로 느끼는 미국인 비율은 73%로, 조사가 시작된 2005년 이래 최고치다. 특히 이 같은 반중 정서는 정치 성향과 무관했다. 중국을 비호감으로 느낀다는 비율은 공화당 지지자 중 83%, 민주당 지지자도 68%에 달했다.

미국과 중국은 2016년 트럼프 취임 이후 무역전쟁으로 갈등을 시작해 최근 코로나19 책임론과 홍콩, 대만, 위구르, 남중국해 등을 둘러싸고 전선을 넓히고 있다.

미국은 다른 국가들에도 반중국 전선에 참여할 것을 압박하고 있다. 미국의 압박과 별개로도 유럽국가들과 동남아시아, 아프리가 국가들에선 각각의 이유로 반중 정서가 심화하고 있다.


중립에서 탈중국으로 선회하는 유럽


사진=로이터


그동안 미-중 대결 구도에서 중립 혹은 관여(engagement) 정책을 고수해 온 유럽연합(EU)도 탈중, 반중 대열에 동참하는 모양새다. 지난달 14일 중국과 EU 정상들과의 화상 정상 회의에서 샤를 미셸 EU 정상회의 상임의장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등 3명이 시진핑 주석에게 홍콩⋅신장 지구 인권 개선과 공정무역을 공개 요구했다.

역시 지난달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등 유럽 5개국을 방문한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어디서도 환영받지 못했다. 친중 성향의 이탈리아마저 주세페 콘티 총리의 바쁜 일정을 핑계로 왕이와의 면담을 거부했다.

막스 베르그만 미국 진보센터 선임연구원은 ‘포린 에페어’ 최신호 기고문에서 “중국의 불공정 무역과 코로나 바이러스 관리 실패, 공격적인 늑대 외교 때문에 반중 여론이 치솟고 EU 전체가 지정학적 판단을 다시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코로나19 발병 이후 트럼프 미국 정부의 '자국 중심적' 대응에 유럽 국가들이 반감을 드러냈으나 중국의 중화사상에 바탕한 '시혜적' 접근에 대한 반감도 못지 않게 컸다. 중국은 이탈리아 등에 자국 의료단을 파견하면서 "중국의 의료기술이 유럽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는 식으로 언급했다.

또 미국이 유럽국가들과 무역 갈등을 일으키고 있는 와중에 중국이 이 틈을 파고 들려했으나 쉽지 않다. 해외 기업에 대한 배타성, 정부 차원의 보조금 등을 엎고 침투하는 중국 자본에 대한 경계심이 더 컸기 때문이다.


중국과 살 맞댄 나라들


필리핀 반중시위/사진=로이터


중국과 지정학적으로 직접 부딪히는 국가들에서의 반중 정서는 더 심하다. 대표적으로 인도와 동남아시아 국가들이다.

올해 6월 중국과의 국경 분쟁에서 군인 20여 명의 목숨을 잃은 인도에선 반중 감정이 극에 달했다. 곳곳에서 시진핑 주석 사진과 오성홍기를 불태웠다. 반중 감정은 중국산 불매 운동으로 번져 인도 정부는 6월부터 220개가 넘는 중국산 스마트폰 앱 사용을 금지했다.

인도는 중국과 남중국해 영유권을 놓고 분쟁 중인 필리핀과 베트남에도 손을 내밀었다. 인도는 베트남과 남중국해 문제를 논의하고 중국 견제를 위해 군사 협력을 강화하려고 한다. 인도는 남중국해와 직접적인 연관은 없으나 중국 견제를 위해 이들 편에 선 것이다.

밀크티 동맹(홍콩 대만 태국의 젊은 시위대)은 반독재, 반중 시위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국가에서 밀크티가 사랑받으면서 붙은 이름이다. 대만과 홍콩에서 벌어진 반중 시위에 태국 등이 지지를 보냈고 필리핀과 인도도 밀크티 동맹에 동참할 움직임을 보인다.


중국 손 잡았다가 빚만 떠안은 아프리카


중국정부가 2017년까지 아프리카 49개국 정부 및 국영기업에 빌려준 돈은 약 1430억 달러로 추정된다. 대부분의 국가가 중국으로부터 막대한 차관을 받아 빚더미에 앉은 상태다. 아프리카 현지에서 사업을 하는 중국 기업들의 현지인 차별 행태도 반중 정서를 키웠다.

여기에다 코로나19로 경제난에 휩싸인 아프리카 국가들은 중국에 부채 탕감을 요구했다. 중국의 대아프리카 투자는 신식민주의 비판을 받아왔다. 중국이 아프리카 시장에 '투자'하는 게 아니라 '착취'를 목적으로 한다는 것. 또 중국에 사는 아프리카 출신인들에 대한 인종차별도 논란이 되면서 반중 정서는 더 심화하고 있다.

베스트 클릭

  1. 1 나훈아 '김정은 돼지' 발언에 악플 900개…전여옥 "틀린 말 있나요?"
  2. 2 남편·친모 눈 바늘로 찌르고 죽인 사이코패스…24년만 얼굴 공개
  3. 3 "예비신부, 이복 동생"…'먹튀 의혹' 유재환, 성희롱 폭로까지?
  4. 4 불바다 된 LA, 한국인들은 총을 들었다…흑인의 분노, 왜 한인 향했나[뉴스속오늘]
  5. 5 계단 오를 때 '헉헉' 체력 줄었나 했더니…"돌연사 원인" 이병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