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인하세요, 농산물 국가인증 마크…밥상이 건강해 집니다.

머니투데이 세종=정혁수 기자 | 2020.09.15 04:20
주원농장 김후주 대표는 국내 대표적인 청년여성농부CEO로 꼽힌다. 지난 11일 오후 충남 아산 둔포면에 위치한 자신의 배 농장(1만5000평 규모)에서 설탕,주정을 섞어 만든 해충 포푁용 '막걸리트랩'을 소개하고 있다. 김씨 농장에서는 농약대신 직접 만든 퇴비를 사용하거나 필요한 풀씨는 뿌리고 해로운 풀은 뽑는 초생재배 등을 활용해 유기농 배를 생산하고 있다. /사진=정혁수 기자


'친환경농산물인증' 등 농식품 국가인증제도 관심 잇따라


가사도우미를 자처하는 남자들이 늘고 있지만 밥상차리기는 여전히 주부들에게 부담이다. 특히 매끼 밥상에 올라갈 반찬거리를 준비하기는 골치다. 장바구니 물가가 껑충 뛴 것도 신경쓰이지만 가족을 위해 '건강한 먹거리'를 우선 챙겨야 하기 때문이다.

코로나19(COVID-19) 상황이 장기화하면서 이같은 고민은 더 커졌다. 가족의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먹거리가 어떤게 있는지, 또 이러한 농산물은 어떤 과정을 통해 우리 식탁까지 오게 되는지 알아보는 이들도 늘어나는 추세다.

문제는 신선하고 안전한 먹거리를 판매자의 선의에만 의존하기에는 변수가 많다는 것이다. 농산물의 안전성을 높여 우리 밥상을 위협하는 악재를 피하는 노력이 절실한 상황이다. 최근 정부가 친환경 인증, GAP(농산물우수관리인증) 등 농식품 국가인증제도를 강화하고 나선 것도 이같은 맥락에서다.

14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 따르면 소비자에게 안전하고 우수한 농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국민 요구가 확대되면서 농산물 친환경 인증, GAP(농산물우수관리인증) 등 농식품 국가인증제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 최소 안전망 '국가인증'


이는 농식품 국가인증제도가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를 공급하는 최소한의 안전망이라는 인식이 확산된 것으로, 농관원은 생산·소비 주체인 농업인과 소비자 입장에서 농식품 안전·품질관리를 철저히 해 나가겠다는 의지다

친환경농산물인증의 경우, 유기·유기가공·무농약·무항생제 인증 등을 포함한다. '친환경농업'은 생물 다양성을 증진하고, 토양에서 생물적 순환과 활동을 촉진할 수 있도록 환경을 보전하는 것을 말한다. 농산물은 화학비료 등 화학자재를 사용하지 않거나 그 사용을 최소화해 생산된다.

지난 해 말 친환경농산물인증을 받은 국내 농가수는 5만8055호, 인증면적은 8만1717ha에 달한다. 이는 전체 농가수의 5.7%, 농지면적의 5.3%에 해당한다. 이처럼 친환경농산물 재배 인구와 면적이 증가하는 것은 소비자들의 선택 덕분이다.

지난 해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조사에 따르면, 친환경농산물 시장 규모는 연평균 5.3% 성장하고 있으며 올해 2조2224억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조사됐다. 2025년에는 그 규모가 2조6286억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농산물우수관리(GAP) 등 소비자 신뢰 호응 잇따라


농산물우수관리(GAP: Good Agricultural Practices)인증을 찾는 소비자들도 많다. 고품질 농산물을 상징하는 GAP은 생산,수확,수확후 관리 및 유통의 각 단계에서 잔류할 수 있는 농약, 유해생물 등 위해요소를 적절하게 관리하는 사전예방적 안전관리체계를 말한다.

2019년 GAP 인증 농가수는 9만9050호로 전체 농가 대비 9.7%, 인증 면적은 11만2000ha로 전체 7.0%를 차지하고 있다. 전년대비 농가수는 1만2261호, 재배면적은 1만291ha 증가했다. 농관원은 GAP 인증 확산을 위해 지난 해 농업인 4556명을 지도했으며 이중 82.6%인 3761명이 GAP인증을 받았다.


소비자 신뢰 제고를 위해 사후관리에도 힘썼다. 전체 GAP 인증기관에 대해 2회에 걸쳐 일제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인증기관 평가에 반영했다. GAP인증 농가가 10만 농가에 육박하면서 조직내 자율적 관리역량 강화를 위해 내부관리자 지정, 비용을 지불해 실질적인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했다.

또 GAP인증 농가중 표본 2만8000여건에 대해 농장 등 에서의 생산·유통과정을 조사함으로써 부적합 인증품 유통을 차단하는 등 안전하고 착한 농산물의 유통과 소비기반을 구축했다.

'전통식품 품질인증' 제도를 통해 우수식품인증을 받은 식품의 품질유지와 소비자 보호를 위한 사후관리도 확대되고 있다. 전통식품에 대한 인증품이 점차 증가해 2015년 546건에서 2019년말 716건으로 증가했다. 또 시판품에 대한 조사와 현장조사를 연 1회 이상 실시하고 있다.



농관원 엄격한 사후관리 고품질 농식품 선봬


국산 농산물을 주원료로 제조·생산한 술에 대한 인증도 운영하고 있다. 정부가 지정한 인증기관이 품질인증을 받고자 신청한 생산업체의 술에 대해 품질인증을 실시하고, 그 인증품에 대해 정부가 품질을 보증하는 방식이다.

술 품질인증 대상품목은 정부가 지정 고시한 탁주(막걸리), 약주, 청주, 과실주, 증류식소주, 일반증류주, 리큐르, 기타주류 8개 품목이다. 2019년 현재 탁주 56건, 증류식소주 25건, 약주 28건 등 135건의 고품질 술이 대한 인증이 실시됐다.

농식품 국가인증과 관련 인증정보는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농관원 누리집(www.naqs.go.kr)에 접속한 후 '업무소개'→'농식품인증'를 클릭하면 인증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노수현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은 "맛있고 건강한 '먹거리'를 제공하는 것은 국가 생존의 기본 전제"라며 "농식품 국가인증제도를 통해 농업인에게는 농산물 생산의 안정적인 기반을 제공하고 소비자에게는 농산물 신뢰도를 보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베스트 클릭

  1. 1 '외동딸 또래' 금나나와 결혼한 30살 연상 재벌은?
  2. 2 '눈물의 여왕' 김지원 첫 팬미팅, 400명 규모?…"주제 파악 좀"
  3. 3 수원서 실종된 10대 여성, 서울서 20대 남성과 숨진 채 발견
  4. 4 [더차트] "자식한테 손 벌릴 순 없지"…50대, 노후 위해 '이 자격증' 딴다
  5. 5 월급 그대론데 지갑 빵빵해졌다?…평택 '이 동네' 함박웃음 짓는 이유[르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