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퍼스 낭만 사라진 '코로나 세대'…"군대갑니다"

머니투데이 강주헌 기자 | 2020.08.21 05:11
코로나19 확진자가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20일 오전 서울 송파구 문현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이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 /사진=뉴스1



"대학에 가면 캠퍼스의 낭만을 즐기고 여자친구를 사귈 수 있을 거라 생각했어요. 하지만 코로나19의 확산에 이런 꿈들은 물거품이 돼 버렸어요. 우울해져서 어떤 것도 눈에 들어오질 않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어요."

'코로나 블루(코로나19와 우울감이 합쳐진 신조어)'가 심각한 상황이다. 캠퍼스의 낭만도, 학창시절의 추억도, 심지어 학교 친구들과의 사소한 다툼도 사라졌다. 코로나19의 2차 팬데믹(대유행)이 오면서 ‘코로나 세대’의 상대적 박탈감, 우울과 좌절이 커지고 있다.



"남는 게 없던 학기"…상실, 좌절, 불안 호소


코로나19 때문에 학교생활을 제대로 하지 못한 대학생, 특히 1학년들의 상실감은 크다. 서울 소재 간호대 1학년 A씨는 “코로나 때문에 온라인 강의를 계속 들으면서 핸드폰을 보느라 집중도 하지 않았다. 대학교에 다니는지 사이버대학교에 다니는지 분간이 안 된다”며 “내 인생에 남는 게 없던 학기”라고 토로했다.

2학기 중 입대하기로 계획한 서울 소재 경영대 1학년 B씨는 “대학생활을 즐기고 싶었지만 학과 행사가 축소되고 온라인 수업이 많았다. 2학기에도 대면·비대면을 혼합해 수업한다는데 1학기와 다르지 않을 것이라 생각해 입대를 결심했다”고 말했다.

그는 “대학친구를 많이 만들지 못하고 스무살에 할 수 있는 연애를 못해봤다는 게 가장 아쉽다”고 속상해했다.


학교 안가니 왕따 사라진 학교…뒤바뀐 일상


학교에서 사회화를 체득해야 할 일선 교육 현장에서도 코로나19가 학생들의 삶을 바꿔놓았다. 경기 소재 초등학교 1학년생을 둔 학부모 C씨는 “아이가 일주일 학교를 가면 일주일은 집에서 수업을 듣거나 쉬었다”며 “학교에 가도 쉬는시간까지 마스크를 하고 있어야 하고 친구랑 말도 못해 학교 가기를 싫다고 한다”고 말했다.

서울 강북에 사는 고3 D씨는 “어차피 대학입시로 공부할 수밖에 없어 우리는 어차피 못 노는데 남들도 못 노는 상황이 됐다. 좋게 생각하려 한다”면서도 “코로나에 걸리면 공부도 못하고 재수한다는 압박을 항상 느껴 조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기 소재 고등학교 2학년 담임을 맡고 있는 교사 E씨는 “코로나로 학교에 나오지 않는 것을 좋아하는 학생들이 많다. 특히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이 더 그렇다”며 “사춘기 민감한 시기 학교에서 친구들과 부대끼며 배워야 할 인간관계, 단체생활을 위해 애쓰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E씨는 “서로 만날 기회가 적어지니 왕따 등 학교폭력이 사라졌고, 아이들의 사소한 다툼도 전보다 사라졌다는 걸 확연히 체감한다”고 말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전국 대다수 대학들이 개강을 연기한 가운데 3월 3일 서울 마포구 서강대학교 학생회관이 폐쇄돼있다. /사진=뉴스1



우울감 극복이 안되고, 자기효능감 사라진 세대


이동귀 연세대 심리학과 교수는 2차 팬데믹이 ‘강화’(생물이 어떤 자극에 반응해 미래 행동을 바꾸는 것) 계획에 혼란을 가져왔다고 분석했다.

이 교수는 “코로나 상황이 나아졌다가 재확산되면서 극복의 기대가 무너지는, 원위치로 다시 돌아온 상황이 됐다”며 “학생들의 우울감이 소거가 되지 않는 상태”라고 진단했다. 그는 “상실과 좌절은 우울감과 맞닿아 있다. 원래 가능했던 일이 가능하지 않으면 사람은 상실감을 느낀다. 내 마음대로 하고 싶은데 하지 못하는 좌절감을 느끼게 된다”고 제시했다.

임명호 단국대 심리학과 교수는 ‘자기효능감’ 측면에서 현상을 진단한다. 코로나19로 학교 체험과 활동이 줄어들면서 학생들의 성취욕구를 채워주지 못했다는 것. 임 교수는 “학교의 기능 중 하나는 학생이 그 공간에서 자율성과 자기조절능력을 갖고 활동하면서 성취감을 갖게 하는 것인데 학생의 활동이 제한되고 있다”며 “주변 상황에 대해 조절하고 통제할 수 있는 자기효능감이 떨어지고 위축이 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임 교수는 “코로나가 재확산되고 장기화되면서 불안감과 위축, 박탈감이 더 늘어날 것”이라고 우려했다.


코로나 시대의 소속감과 욕구?…"새로운 연결 필요"


전문가들은 코로나19로 비대면 등 새로운 사회로 재편되는 상황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소속감과 욕구를 찾아나가야 한다고 조언한다. 부모와 교사에게도 적극적인 피드백을 줄 때 ‘코로나 블루’가 극복될 수 있다고 권고했다.

도승이 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는 “상황이 나아질 거라는 희망이 2차 팬데믹으로 인해 이런 일상이 장기화될 거라는 생각으로 바뀌고 있다”며 “과거 학교라는 집단에 소속돼 연대하며 느끼는 안정감과 기쁨, 행복 등이 박탈됐다고 학생들이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는 특정 나라나 연령의 문제가 아니라 모두의 문제”라며 “코로나 시대가 왔다는 걸 받아들이면서 저마다 소속감과 욕구를 찾아가야만 한다. 대면 사회에서만 소속감과 행복감을 느끼는 건 아니다”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부모가 아이에게 오늘 있었던 즐거운 일이 뭔지 물으며 그 전에 가지지 못했던 ‘새로운 연결’을 시도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일선 학교 교사들도 학생들과 오랜만에 만나더라도 소통하기 위한 인사를 건네며 학생들의 ‘연결 욕구’를 채워줘야 한다”고 말했다.

베스트 클릭

  1. 1 300만원 든 지갑 돌려준 노숙자, 돈벼락 맞았다…"수천만원 돈쭐"
  2. 2 '합의 거절' 손웅정 "손흥민 이미지 값이라며 수억 요구…돈 아깝냐더라"
  3. 3 [단독]허웅 전 여친, 이선균 공갈사건 피고인과 같은 업소 출신
  4. 4 "물 찼다" 이 말 끝으로…제주 간다던 초5, 완도에서 맞은 비극[뉴스속오늘]
  5. 5 베트남 두리안 싹쓸이 하더니 돌연 "수입 안해"…중국 속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