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숙이 밝힌 '데이터센터'의 미래…'서민 돕는 똑똑한 데이터'(종합)

머니투데이 백지수 기자 | 2020.07.14 16:38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한국판 뉴딜 국민보고대회(제7차 비상경제회의)에 참석해 동영상으로 연결된 한성숙 네이버 대표의 발언을 듣고 있다. /사진=뉴시스

한성숙 네이버 대표가 14일 청와대의 '한국판 뉴딜 국민보고대회'에서 밝힌 데이터의 미래는 소상공인과 사회 초년생, 창작자 등을 돕는 '서민 친화적이고 똑똑한 데이터'였다.

한 대표는 이날 오후 강원도 춘천 구봉산 자락에 있는 네이버 데이터센터 '각'(閣)에서 청와대 영빈관에 화상 연결해 "지금까지의 데이터 센터가 기록과 저장에 충실했다면 미래의 데이터 센터는 똑똑한 데이터 센터, 즉 '브레인 센터'"로 발전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각'은 고려시대에 팔만대장경을 보존하기 위해 지어진 '장경각'에서 따온 네이버의 데이터센터의 이름이다. 약 240페타바이트(PB, 약 2만4000테라바이트) 규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서버를 보유하고 있다.


구슬도 꿰어야 보배?…한성숙 "모인 데이터 활용해야 가치"


한 대표는 이날 정부가 '한국판 뉴딜' 중 '디지털 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데이터 댐' 사업으로 소상공인에게 도움될 수 있는 로봇 기반 플랫폼이 발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데이터 댐'은 댐에 큰 물을 저장해 농수로 활용하는 것처럼 초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해 국민들이 일상과 경제 활동에서 편하게 이용하도록 하는 정책 사업이다. 데이터를 저장할 댐과 같은 데이터 센터나 '디지털 집현전' 조성, 농수로 같은 역할의 5G 통신망 구축 등이 핵심이다.

한 대표는 자신이 있는 데이터센터 '각'을 소개하며 "(이 곳이) 지난 20년 간 네이버 이용자들의 일상의 기록과 다양한 정보가 모여있는 커다란 '데이터 댐'"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제는 데이터를 모으는 것에서 한 발 나아가 모인 데이터를 잘 활용해 우리 생활을 더 편리하게 할 수 있을 때 비로소 데이터 댐의 가치가 빛난다"고 말했다.

한 대표는 '데이터 댐'을 활용한 사례로 네이버가 개발한 데이터 센터에 기반을 두고 개발한 AI(인공지능) 기반 브레인리스(Brainless) 로봇 '어라운드'를 소개했다.

한 대표는 "지금까지의 로봇은 복잡한 뇌가 로봇 몸체 안에 있었지만 '어라운드'는 빠른 네트워크로 연결돼 명령하는 브레인(두뇌) 역할을 서버가 대신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한 대표는 "이 '브레인리스 로봇 기술'은 수십 대의 로봇을 동시에 정밀하게 제어하면서도 로봇을 더 작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며 "더 많은 사람들이 부담없이 일상에서 로봇을 활용할 수 있게 해줄 것"이라고도 말했다.


데이터가 만든 로봇이 또 다른 가치로


한 대표는 데이터 센터를 기반으로 만든 '브레인리스 로봇'이 제2의 가치 창출로 이어져 선순환 할 수 있다는 사례도 소개했다.

한 대표는 "네이버는 서버를 식히고 나온 폐열도 버리지 않고 최대한 친환경적으로 데이터센터 내 온실에서 재활용하고 있다"며 "이 온실에서는 3차원 고정밀 매핑 로봇 '엠원엑스'(M1X)가 스스로 실내 지도를 만든다"고 말했다.

이어 "'엠원엑스'가 더 많은 고정밀 지도 데이터를 쌓게 된다면 길 찾기가 어려운 지하상가나 복잡한 골목에서도 자동차 내비게이션처럼 정확한 길 안내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 대표는 네이버가 이미 빅데이터 기반의 통계 도구 '스마트스토어' 서비스로 40만여명 소상공인들을 돕고 있다고도 밝혔다.

그러면서 "이 도구를 잘 쓴 사업자들의 매출이 점점 더 늘어나 새로운 일자리까지 만들어지는 긍정적 흐름이 생겨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한 대표는 "네이버가 AI 기술로 분석 가공한 다양한 데이터를 클라우드를 통해 공개하려 한다"며 "소상공인과 창작자를 위해 더 쉽고 편리한 플랫폼을 만들고 스타트업 투자와 온라인 창업, AI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지원에도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또 "네이버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상공인과 사회 초년생을 위한 혁신적인 금융 서비스도 잘 만들어 나가겠다"고 했다.

베스트 클릭

  1. 1 300만원 든 지갑 돌려준 노숙자, 돈벼락 맞았다…"수천만원 돈쭐"
  2. 2 [단독]허웅 전 여친, 이선균 공갈사건 피고인과 같은 업소 출신
  3. 3 '합의 거절' 손웅정 "손흥민 이미지 값이라며 수억 요구…돈 아깝냐더라"
  4. 4 "물 찼다" 이 말 끝으로…제주 간다던 초5, 완도에서 맞은 비극[뉴스속오늘]
  5. 5 "허웅이 낙태 강요…두 번째 임신은 강제적 성관계 때문" 전 여친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