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금융권에 따르면 두 금융그룹은 협의체 구성을 위한 논의에 들어갔다. 구체적인 출범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늦어도 3분기 안에는 구성원과 역할 범위를 확정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지호 신한금융지주 글로벌사업부문 부사장 겸 신한은행 부행장, 이종승 하나금융 글로벌부문 상무 겸 하나은행 글로벌그룹장이 협의체 공동 의장으로 내정됐다.
두 사람 모두 은행뿐 아니라 그룹 글로벌 사업 전반의 책임자로서, 업종을 뛰어넘어 양 그룹 계열사간 현지 전략을 유기적으로 조율하는 사령탑 역할을 하게 된다.
당장 가능한 협업은 자본금의 최대 20% 이내 여신 제한을 받는 동일인 여신한도 때문에 수요측을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 두 은행이 동시에 출격하는 것이다. 수요측이 4000억원을 원하는 데 각자 동일인 여신한도가 2000억원이라면 기존에는 계약을 성사시키지 못했거나 경쟁에서 밀렸지만 이제는 계약이 가능하다.
두 금융그룹은 상대 은행이 선점한 해외 법인에 투자해 법인을 운영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A은행이 입지를 다진 곳에 B은행이 49% 출자를 해 제3의 C은행을 출범시키는 식이다. 이 경우 C은행 지분 51%를 보유한 A은행이 법인장 또는 지점장을, B은행이 부법인장 또는 부지점장을 맡는 형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국내 금융 역사상 전례가 없는 것이다. 자본력이 커지는 만큼 현지 영향력은 강해진다. 반면 각 은행마다 투자한 돈만큼만 리스크를 감당하면 된다. 1에 1을 더해 2+α 효과를 기대하면서도 각자 책임은 1만큼만 지면 되는 것이다.
양 그룹은 장기적으로 기존에 진출한 점포들을 통합하는 데도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통합 방법은 각자의 자산을 따져 그만큼 합병 비율을 산출하는 방식이 유력하다. 덩치는 커지지만 각종 고정비는 반으로 줄일 수 있다. 절감되는 비용은 수익으로 돌아온다.
그룹들은 협의체 출범과 함께 협력 가능한 모든 시나리오를 도출하고 각각의 상황에 맞는 메뉴얼을 가능한 빨리 만들겠다는 목표다.
한 금융그룹 관계자는 "처음에는 막연하게만 느껴졌지만 실무 논의를 진행해본 결과 상당한 시너지가 가능하다는 데 공감했다"며 "중복되는 것들은 하나로 모아 비용을 반으로 줄이고 각자의 장점을 살려 효과는 두 배로 낼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