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타항공 노조 "제주항공 압박에 노사 합의 무산"…정부 사태해결 촉구

머니투데이 주명호 기자 | 2020.05.21 15:08
이스타항공의 구조조정 및 경영정상화 합의가 또다시 무산됐다. 이스타항공 직원들은 이스타항공을 인수키로 한 제주항공이 고용승계 약속을 어기고 구조조정 압박을 지속하고 있다며 정부 차원의 사태해결을 촉구하고 나섰다.

21일 이스타항공 조종사 노조 및 직원들은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 앞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 양쪽이 서로 책임을 전가하며 상황을 약화시키고 있다"며 "정부와 여당이 사태해결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21일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 앞에서 이스타항공 조종사 노조 및 직원들이 구조조정 및 경영정상화와 관련해 정부 차원의 사태해결을 촉구하는 결의대회를 열고 있다.
이스타항공 노조에 따르면 지난 8일 사전 구두 합의한 구조조정안을 합의하기로 한 노사협의회가 돌연 연기됐다.

노조 관계자는 "제주항공측에서 체불임금 등 약 200억원의 선 해결을 요구하면서 협의가 무산됐다"며 "앞서 3월 2일 체결된 주식매매계약(SPA)에서 임금체불의 책임을 제주항공이 떠안기로 합의했는데 이를 변경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스타항공 노사는 7일 기존 인력감축안을 희망퇴직, 계약해지, 임금삭감 등으로 최소화하는 구조조정안에 구두 합의했다. 조정안은 △운항승무원 임금 35%, 운항 외 직원 임금 25% 삭감 △운항 외 승무원 62명 희망퇴직 유도 및 위로금 3개월분 지급 등이 담겼다.

당초 이스타항공은 전체 직원의 약 45%에 달하는 750명을 구조조정하기로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노조 및 직원들의 반발이 거세지자 구조조정 규모를 350여명 수준으로 축소키로 했다. 이스타항공은 이미 앞서 65명의 희망퇴직 신청을 접수하고 계약직 186명을 계약해지한 바 있다.


이스타항공은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경영위기가 심화되면서 지난 2월 직원들에게 임금의 40%만 지급했다. 3월부터는 임금 전체가 지급되지 않고 있다.

노조는 제주항공이 당초 약속했던 고용 승계를 어기고 구조조정을 요구했다고 주장했다. 노조 관계자는 "지난해 매각 MOU 체결 당시 고용 승계를 공표했는데 3월 SPA시 구조조정 계획을 계약 조건에 담고 리스항공기를 반납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이스타항공 노조와 직원들은 이와 함께 즉각적인 항공운항 재개도 요구했다. 노조는 "이유없는 전면 욶아 중단이 철회되지 않으면서 이스타항공 손실은 배가되고 있다"며 "대출까지 가로막히면서 직원들은 아르바이트로 근근히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스타항공은 6월에도 국내·국제선 운항을 모두 중단하는 '셧다운'을 지속할 방침이다.

베스트 클릭

  1. 1 "두 번의 임신 빌미로 금전 요구"…허웅, 전 여친 고소한 이유
  2. 2 감자 캐던 소녀, 큐대 잡더니 '국민영웅' 됐다…"한국은 기회의 땅"[인터뷰]
  3. 3 '합의 거절' 손웅정 "손흥민 이미지 값이라며 수억 요구…돈 아깝냐더라"
  4. 4 300만원 든 지갑 돌려준 노숙자, 돈벼락 맞았다…"수천만원 돈쭐"
  5. 5 "물 찼다" 이 말 끝으로…제주 간다던 초5, 완도에서 맞은 비극[뉴스속오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