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중공업 '3년 리빌딩' 가능할까

머니투데이 최민경 기자 | 2020.05.20 14:16
한국수출입은행이 두산중공업의 외환채권 5억달러(약 5868억원)에 대한 대출 전환을 결정한 21일 오후 서초구 두산중공업 서울사무소 앞을 시민들이 지나고 있다. / 사진=김휘선 기자 hwijpg@
두산그룹 경영정상화 방안이 이르면 이달 중 확정된다. 채권단이 그룹에 3년의 두산중공업 '정상화' 시간을 주기로 가닥을 잡았다는 말이 나온다. 유동성을 지원할테니 이 기간 안에 두산중공업 스스로 이익을 내고 자립할 구조를 마련하라는 뜻이다.

결국 두산중공업이 가스터빈 등 미래 먹거리를 최대한 빨리 안착시켜 현금을 벌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20일 재계에 따르면 두산그룹은 삼일회계법인 실사 결과를 바탕으로 채권단과 협의한 후 이르면 이달 중 경영정상화 방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등 채권단이 두산그룹에 지원하기로 약속한 유동성은 지금까지 총 2조4000억원 규모다. 두산그룹은 재무구조개선계획(자구안)을 마련해 채권단과 논의했고, 이에 근거한 경영정상화 방안이 확정된다.

채권단은 두산그룹 경영정상화에 3년 가량의 시간을 주기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전해진다. 이 기간 안에 유동성 지원을 발판으로 △두산중공업이 올해 갚아야 할 빚 4조2000억원을 털어내고△그룹 자산매각 등 자구노력을 통해 최대한 빨리 3조원 규모의 자구안을 추진하는 한편△두산중공업이 이익을 내 스스로 자립하는 구조를 만들라는 의도다.

재계 한 관계자는 "결국 위기의 진앙지인 두산중공업의 자립이 단기간 내엔 어렵다고 채권단과 두산그룹 양측 모두 보고 있는 것"이라며 "두산중공업이 3년 안에 자립할 사업구조를 갖추느냐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3년 안에 가스터빈·풍력발전 사업 자리 잡아야


두산중공업 직원들이 18일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의 최종조립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사진제공=두산중공업

실제로 현재 사업구조로 두산중공업은 이익을 지속적으로 내고 이자를 갚아나가도 힘든 상태다. 두산중공업 매출 비중의 70% 이상은 화력발전과 원전인데, 2010~2018년 전 세계 전력 부문 투자액에서 화력과 원전 투자비중은 45.4%에서 36.4%로 추락했다. 이에 따라 두산중공업의 수주잔고도 비슷한 기간 38% 감소했고, 이는 실적 둔화로 연결됐다.

이에 두산중공업이 꺼내든 카드가 가스터빈 사업이다. 공교롭게도 두산중공업은 지난 3월 주주총회에서 가스터빈 등을 통해 2023년까지 신사업 수주 비중을 50% 수준으로 확대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지난해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을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개발한 두산중공업은 현재 가스터빈 시험운영과 실증 작업을 진행 중이다. 2023년 상용화해 2026년까지 이 부문에서 3조원 매출을 낸다는 것이 회사 목표다.

그러나 가스터빈 시장 상황도 녹록치는 않다. 세계 최대 가스터빈업체 제너럴일렉트릭조차 발전용 가스터빈 수요 둔화에 따라 실적 둔화에 시달리는 상태다. 무엇보다 이 같이 힘든 시장을 제너럴일렉트릭, 지멘스, 엠에이치피에스, 안살도 등 4대기업이 96% 과점하고 있다. 두산중공업이 뚫기 쉽지 않은 시장인 셈이다.


또 다른 미래 먹거리인 풍력 사업도 돌파하기 쉽지 않다. 두산중공업은 2005년부터 풍력발전 산업을 시작해 2010년 3MW(메가와트)급 첫 자체 개발 모델을 생산했다. 2017년엔 현대일렉트릭으로부터 5.5MW 해상풍력발전 기술을 인수해 기술 기반을 갖춰둔 상태다.

하지만, 해외에선 이미 8MW급을 상용화하고 12MW급을 개발하고 있다. 1980년대부터 풍력발전 기술을 개발해온 베스타스 등 글로벌 기업을 넘어서야 풍력도 회사의 확실한 캐시카우가 된다.



전력수급기본계획이 관건…국내 풍력·LNG발전 시장 열릴수록 유리


풍력발전, 이미지투데이 / 사진제공=이미지투데이

이런 상황에서 두산중공업이 기댈 수 있는 것은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과 전기수급계획이다. 최근 발표된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초안엔 석탄발전을 줄이고 LNG발전을 확대하는 방안이 포함됐다. 이 초안에 따르면 노후 석탄발전 30기 가운데 24기12.7GW를 LNG발전으로 전환한다. 2029년 3GW 규모의 신규 LNG발전설비도 건설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현재 41.3GW 수준인 LNG발전은 2030년엔 57GW, 2034년엔 60.6GW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업계는 2034년까지 LNG발전 시장 규모를 최소 15조원 수준으로 관측하고 있다. 두산중공업이 생산한 국산 가스터빈이 진입할 수 있는 시장이 늘어나는 셈이다.

입지규제와 주민반대 등으로 사업 추진이 지연되고 있는 풍력발전도 지난 2월부터 풍력발전추진지원단이 발족되면서 국내 시장이 넓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에선 정부가 국내 기업의 설 자리를 위해 두산중공업의 기술 발전 및 보급 가능성과 발 맞춰 에너지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두산 관계자는 "전력수급계획에 따라 발전설비 규모가 달라진다"면서 "두산중공업의 매출 목표도 이에 영향 받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베스트 클릭

  1. 1 나훈아 '김정은 돼지' 발언에 악플 900개…전여옥 "틀린 말 있나요?"
  2. 2 남편·친모 눈 바늘로 찌르고 죽인 사이코패스…24년만 얼굴 공개
  3. 3 "예비신부, 이복 동생"…'먹튀 의혹' 유재환, 성희롱 폭로까지?
  4. 4 불바다 된 LA, 한국인들은 총을 들었다…흑인의 분노, 왜 한인 향했나[뉴스속오늘]
  5. 5 계단 오를 때 '헉헉' 체력 줄었나 했더니…"돌연사 원인" 이병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