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유수유하면 출산 뒤 당뇨병 예방? 사실이었네

머니투데이 조성훈 기자 | 2020.04.30 03:00
모유수유의 당뇨병 예방 기전 개념도/사진=KAIST
국내 연구진이 모유 수유가 출산 뒤 산모의 당뇨병 발병률을 낮출 수 있음을 규명했다.

KAIST는 의과학대학원 김하일 교수와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장학철 교수 공동연구팀이 모유 수유가 산모의 췌장에 존재하는 베타세포를 건강하게 만듦으로써 출산 뒤 당뇨병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임신성 당뇨병 및 출산 뒤 산모의 당뇨병 발병은 여성 평균 출산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전체 산모의 10% 이상이 임신성 당뇨병에 걸리고, 그중 절반 이상은 출산 후 당뇨병으로 연결된다. 또 임신과 출산을 경험한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당뇨병 발병률이 더 높다.

당뇨병은 통상 심혈관 및 뇌혈관, 신경, 망막 질환 등의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여성의 건강과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린다는 게 학계의 정설이다.

모유 수유는 그동안 산모와 아기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이롭고 특히 당뇨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그 기전에 대해서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았다.
(왼쪽부터) KAIST 김하일 교수, 분당서울대병원 장학철 교수, KAIST 문준호 박사, 충남대 의대 김형석 박사/사진=KAIST


연구팀에 따르면, 모유 수유 중인 산모의 뇌하수체는 모유의 생산을 촉진하는 호르몬인 '프로락틴'을 활발히 분비한다. 프로락틴은 혈당 조절에 관여하는 호르몬인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의 '베타세포'를 자극한다. 이때 합성되는 신경 전달 물질인 세로토닌이 베타세포의 증식을 유발해 베타세포의 양을 증가시키고 베타세포 내부의 활성 산소를 제거해 산모의 베타세포를 보다 건강한 상태로 만든다. 따라서 모유 수유는 산모의 베타세포를 다양한 대사적 스트레스에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게 만들어 준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임신성 당뇨병 산모 174명을 출산 뒤 3년 이상 추적, 관찰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수유했던 산모들이 비수유 산모에 비해 베타세포의 기능이 개선되고 혈당 수치가 20mg/dL 정도 낮아지는 현상을 확인했다.

공동연구팀을 이끈 KAIST 김하일 교수는“모유 수유에 의한 베타세포의 기능 향상이 임신과 출산을 경험한 여성의 당뇨병 발병 예방에 큰 도움이 된다”면서 “모유 수유가 지닌 효과는 장기간 지속돼 수유가 끝난 후에라도 장기적으로는 당뇨병 예방 효과를 가진다”고 덧붙였다.

KAIST 의과학대학원 문준호 박사와 충남대 의대 김형석 박사가 공동 1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사이언스 중개의학 (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29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보건장학회 등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무섭다" 구하라 사망 전, 비밀계정에 글+버닝썬 핵심 인물에 전화
  4. 4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5. 5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