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마감] 사우디 증설 지시·UAE 증산에 WTI 4%↓

머니투데이 뉴욕=이상배 특파원 | 2020.03.12 04:55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아라비아 왕세자/ AFP=뉴스1

국제유가가 급반등 하루 만에 다시 떨어졌다. UAE(아랍에미리트연합)가 사우디아라비아의 증산에 가담한 가운데 사우디가 국영석유업체 아람코에 원유 추가 증산을 위한 생산능력 확대까지 지시했다는 소식 때문이다.

11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4월 인도분 WTI(서부 텍사스산 원유)는 전 거래일 대비 1.38달러(4.0%) 떨어진 배럴당 32.9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국제유가의 기준물인 5월물 브렌트유는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이날 밤 8시32분 현재 1.32달러(3.6%) 내린 35.90달러에 거래됐다.

러시아와의 추가 감산 합의에 실패한 사우디가 전격 증산을 단행하며 최근 국제유가 폭락을 촉발했다.

현재 사우디의 일평균 원유 생산량은 970만배럴로, 증산 규모는 당초 시장의 예상을 웃도는 330만배럴에 달한다.

미국 경제방송 CNBC에 따르면 사우디 석유부는 아람코에 원유 생산능력을 현재 하루 1200만배럴에서 1300만배럴로 늘리라고 지시했다.

또 사우디가 주도하는 OPEC(석유수출국기구)의 회원국 UAE도 다음달부터 일평균 원유 생산량을 100만배럴 늘리겠다고 이날 밝혔다.


미국의 원유 재고가 7주 연속 늘었다는 소식도 유가 하락에 한몫했다.

이날 미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지난주 미국의 원유 재고량은 약 766만배럴 증가했다. 당초 시장이 전망한 250만배럴을 웃도는 증가폭이다.

원유컨설팅업체 오안다의 에드워드 모야 시니어 애널리스트는 "원유시장의 공급과잉 우려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며 "사우디, 러시아, UAE까지 시장점유율 확보를 위한 무한경쟁에 들어갔다"고 말했다.

대표적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내림세였다. 이날 오후 3시52분 현재 뉴욕상업거래소에서 4월물 금은 전장보다 23.10달러(1.39%) 하락한 1637.20달러를 기록했다.

미 달러화는 강보합세였다. 같은 시간 뉴욕외환시장에서 달러인덱스(DXY)는 전 거래일보다 0.11% 오른 96.52를 기록했다. 달러인덱스는 유로, 엔 등 주요 6개 통화를 기준으로 달러화 가치를 지수화한 것이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태국 보트 침몰 순간 "내리세요" 외친 한국인 알고보니…
  2. 2 경매나온 홍록기 아파트, 낙찰돼도 '0원' 남아…매매가 19억
  3. 3 "아이고 아버지! 이쑤시개 쓰면 안돼요"…치과의사의 경고
  4. 4 민희진 "뉴진스, 7년 후 아티스트 되거나 시집 가거나…"
  5. 5 "김호중, 징역 3년 이상 나올 듯…바로 합의했으면 벌금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