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마스크 생산업체 손해 없도록 하겠다"

머니투데이 세종=유선일 기자 | 2020.03.06 14:57
코로나19 확산이 지속되고 있는 2일 오후 서울역 내 중소기업명품마루 브랜드K에서 시민들이 마스크를 구매하고 있다. / 사진=김창현 기자 chmt@
정부가 기업으로부터 사들이는 마스크의 지급단가를 기준가격 이상으로 지원하고, 주말·야간 생산실적 등에 따라 매입가격을 인상한다.

정부 수급 대책 때문에 손실이 크다며 마스크 생산을 중단한 기업 이덴트에 대해선 “기업이 손해보는 일 없도록 원만히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기획재정부는 6일 “마스크 생산업체들의 생산성 증진, 생산능력 제고 등을 위한 지원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며 “지급단가도 기준가격 이상 지원하고, 주말·야간 생산실적 등에 따라 매입가격도 추가 인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조달청을 통해 마스크 공적물량을 확보하고 있는데, 매입 과정에서 단가를 조정해 생산업체가 손해를 보지 않도록 하겠다는 의미다. 다만 현재 기준가격 수준, 인상 폭 등 구체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정부 대책에 불만을 토로하며 마스크 생산 중단 입장을 밝힌 이덴트에 대해선 “해당 업체와 잘 협의해 적정한 가격으로 손해를 보는 일이 없도록 원만하게 해결해 나가겠다”고만 밝혔다.


앞서 이덴트는 홈페이지에 게재한 사과문에서 마스크 생산을 중단하겠다고 밝히며 “생산단가가 중국산과 비교할 수 없음에도 조달청은 생산원가를 50%만 인정해주겠다고 통보하고, 일일생산량 10배에 달하는 생산수량 계약을 요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현재 해당 사과문은 사라진 상태다.

조달청 관계자는 “최대한 업체 입장을 감안해 협상을 하고 있다”고만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6일 현재 전체 131개 계약대상 생산업체 중 125개사와 계약을 완료했다. 마스크 종류·가격의 다양성, 기존 계약 인수 여부, 다수 소규모 기업과 개별 계약협상 등에도 불구하고 단기간에 높은 계약 성공률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베스트 클릭

  1. 1 산소마스크 내려오고 승객들 코피 쏟고…대만행 대한항공편 긴급 회항
  2. 2 "얼굴 알려진 배우"…성폭행 후 속옷 차림으로 빌던 선생님의 정체
  3. 3 김호중 "돈도 없는 XX놈"…건물주 용역과 몸싸움, 3년전 무슨 일
  4. 4 박세리, 부친 빚 대신 갚느라 힘들었는데…'증여세' 최소 50억 더 내라고?
  5. 5 "무섭다" 구하라 사망 전, 비밀계정에 글+버닝썬 핵심 인물에 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