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입국 '우한폐렴' 감염자, 로밍 데이터로 추적…실효성은

머니투데이 김주현 기자 | 2020.01.28 10:17
임종철 디자인기자 / 사진=임종철 디자인기자

중국에서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우한(武漢) 폐렴'이 확산되면서 전세계를 공포로 밀어넣고 있다. 이미 국내에서도 4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정부가 위기경보를 '경계'로 격상한 가운데 이동통신 로밍정보 등 ICT(정보통신기술)를 활용한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로밍 빅데이터로 전염병 확산 막는다


우리나라도 안전지대가 아니다. 이미 4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중국과 지리적으로 가까운데다 중국을 방문하는 여행객 수도 많아 일일히 추적 관찰하는데도 어려움이 있다.

ICT를 활용해 전염병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이 주목을 받는 것도 이 때문이다. KT가 2016년부터 운영하고 있는 GEPP(감염병 확산방지 프로젝트)가 대표적이다.

질병관리본부는 2016년 KT와 감염병 확산 시스템을 구축해 운영 중이다. 질병관리본부의 해외 감염병 오염지역 정보를 토대로 KT 가입자 로밍 정보를 확인, 오염 지역 방문 고객 정보만을 질병관리본부에 제공하는 방식이다. 질병관리본부는 2017년부터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 가입자 로밍정보도 제공받고 있다.

2018년 9월 메르스 확진 환자가 다시 발생했을 때 발병 38일 이후 메르스 사태 종식을 선언할 때까지 추가 감염이 발생하지 않은 것도 이 시스템 덕분이다.

이번 우한폐렴 능동감시대상자 추적에도 이통3사의 로밍 데이터가 활용되고 있다. 우한 폐렴은 발병 지역이 중국 우한으로 한정돼 있어 중국 로밍 데이터를 활용해 추적 관찰을 하는데 유용하다.

중국 우한 등을 방문한 여행객들에게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병 정보와 예방 및 신고요령에 대한 정보를 문자메시지가 자동 발송된다.




'무증상 입국자'는 못 걸러…글로벌 협력하면 방어막 효과↑


설 연휴 마지막 날인 27일 고양시 덕양구 명지병원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대응을 위한 선별진료소 안내문구가 붙어있다./사진=김휘선 기자

그러나 GEPP가 당장 우한 폐렴의 확산 방지에 실효를 거두기엔 역부족하다. 국내 3차, 4차 확진자처럼 입국 당시 증상이 없었던 경우 추적 대상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 중국이나 타 국가에서 감염된 외국인이 국내로 입국하는 경우도 문제다.

게다가 국제적인 협력이 이뤄지지 않은 현재로선 이통서비스에 가입한 국민들 중에서도 로밍 서비스에 가입하고 해외로 나간 경우만 추적이 가능하다. 로밍을 하지 않고 현지 유심을 사용한 경우 방문 국가를 알 수 없다.

하지만 특정 국가와 특정 통신사뿐 아니라 국제사회가 동참할 경우 프로젝트의 실효성이 보다 막강해질 수 있다. 황창규 KT 회장은 2018년 1월 세계경제포럼(WEF) 연례총회(다보스포럼)에서 효율적인 감염병 대응을 위한 GEPP를 전세계 국가에 제안하기도 했다. 실질적으로 GEPP 운영이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글로벌 합의가 선행돼야 하기 때문이다.

당시 황 회장은 GEPP를 평상시와 위급시 2가지로 나눠 운영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평상시에는 개인정보 이용에 동의한 사람에게만 감염병 위험정보를 파악해 제공하고 '판데믹(감염병 대유행)'과 같이 위급 상황 발생시 모든 휴대폰 이용자의 감염병 발생지역 방문정보를 파악해 위험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이다.

KT 관계자는 "GEPP 플랫폼이 이번 우한 폐렴 사태처럼 긴급한 감염병 확산 방지에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선 글로벌 차원의 협력이 필수"라고 설명했다.

베스트 클릭

  1. 1 "나랑 안 닮았어" 아이 분유 먹이던 남편의 촉…혼인 취소한 충격 사연
  2. 2 "역시 싸고 좋아" 중국산으로 부활한 쏘나타…출시하자마자 판매 '쑥'
  3. 3 "파리 반값, 화장품 너무 싸"…중국인 북적대던 명동, 확 달라졌다[르포]
  4. 4 "이대로면 수도권도 소멸"…저출산 계속되면 10년 뒤 벌어질 일
  5. 5 김정은 위해 매년 숫처녀 25명 선발… 탈북자 폭로한 '기쁨조' 실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