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F 피해자들 "망할 일 없다고 은행서 권유했다"

머니투데이 박광범 기자 | 2019.10.01 14:43

우리은행 피해자들과 면담 "금감원 조사 따라 배상 여부 결정"

1일 오전 서울 중구 회현동 우리은행 본점 앞에서 열린 우리·하나은행의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증권·펀드(DLS·DLF) 피해자비대위의 DLS판매 금융사 규탄 집회에서 한 피해자가 오열하고 있다. 피해자비대위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금융당국에 DLS 판매에 대한 엄정 조사와 계약 무효임을 밝히고, 우리은행 측에는 피해자들에 대한 손해 배상 등을 요구했다. / 사진=이동훈 기자 photoguy@
금융감독원이 해외 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중간검사 결과를 발표한 1일 피해자들이 우리은행 본점 앞에서 집회를 벌인 뒤 은행 관계자들을 면담했다. 우리은행 측은 금융감독원 분쟁조정위원회(분조위) 결과에 따라 과실이 드러날 경우 이를 바탕으로 피해고객에 배상을 하겠다는 뜻을 재확인했다.

김주명 DLF·DLS 피해자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우리은행과 면담 뒤 기자들과 만나 "우리은행에선 금감원 조사가 진행 중이니까 조사 결과에 따라 배상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라며 "이전과 크게 달라진 입장은 없었다"고 밝혔다.

면담에서 피해자들은 금감원 조사 결과 이전이라도 이번 사태에 대한 잘못 인정과 배상 방법을 밝혀달라고 요구했고, 우리은행 측은 난색을 표했다. 금감원 분조위 결과 이후 과실 여부에 따라 배상책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다.

앞서 손태승 우리은행장은 전국 영업본부장을 소집한 자리에서 DLF 손실과 관련해 "앞으로 전개될 분쟁조정 절차에서 고객보호를 위해 적극 협조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당초 피해자들은 손 행장과의 면담을 요청했지만 이날 면담에는 본부장급 인사가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피해자들 호소문을 내고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은 '독일이 망하지 않는 한 손실은 없다' '영국이 망하지 않는 한 손해는 없다'는 똑같은 거짓말로 사기를 쳤다"며 "원금손실이 없다거나 아예 원금 손실에 대해 말하지 않고, 원금 최대 손실을 묻는 고객에게도 엉뚱한 얘기나 거짓말을 했다"고 주장했다.

이날 집회에는 피해자 40여명, 피해액 약 70억원 등의 피해가 집중된 우리은행 위례신도시 지점 피해자 10여명이 참여했다. 이 중 주택담보대출을 갚기 위한 여유자금을 가지고 있던 A씨는 우리은행 위례신도시 지점 직원의 권유로 지난 5월 두 차례에 걸쳐 3억원을 DLF에 투자했다. A씨는 "원금 손실에 대한 설명이 전혀 없었다"며 "선착순 가입 마감이라고, 빨리 가입하라고 투자를 종용했다"고 말했다.

또 다른 피해자 B씨는 우리은행 위례신도시 지점 직원이 4개월 만에 안정적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다며 여러 차례 DLF 투자를 권했다고 주장했다. 결국 B씨는 1억원을 투자했고, 9월29일 만기가 도래해 93.85%의 손실을 입었다. B씨는 "원래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채권에 3000만원을 투자하려고 했었다"며 "'절대 망할 일 없을 것'이라는 소리를 믿고 있는 돈 없는 돈을 모아 1억원을 투자했다"고 밝혔다.

피해자들은 우리은행 직원들이 임의로 투자성향을 '공격투자형'으로 조작해 DLF에 가입을 시켰다고도 주장했다. C씨는 "4.1% 수익을 보장한다고 하는데 그 4.1%가 연 기준이라는 것도 이번에야 알게 됐다"며 "이런 사람이 어떻게 금융지식이 높고, 공격투자형으로 분류돼있는지 분통이 터진다"고 말했다.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무섭다" 구하라 사망 전, 비밀계정에 글+버닝썬 핵심 인물에 전화
  4. 4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5. 5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