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통신장애 359시간…피해 보상은?

머니투데이 임지수 기자 | 2019.10.01 10:49

신용현 의원실, 통신장애 19건 중 피해보상 사례 7건 불과…"실질적 피해보상 방안 마련해야"

통신망 훼손 및 통신서버·네트워크 등 시스템 장애로 인한 통신장애가 지난 10년간 약 359시간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피해보상 사례는 통신장애 발생 건수의 절반에도 못 미쳐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신용현 바른미래당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통신장애 발생 및 보상 현황’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3사의 음성, 데이터, 문자 등 통신장애 발생 누적 시간은 359시간, 피해를 본 이용자는 180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규모 통신장애 발생 건수는 총 19건으로 KT가 8건으로 가장 많았고 SK텔레콤 6건, LG유플러스 5건의 순이었다. 장애원인은 트래픽 과부하, 장비 불량, 서버 이상, 광케이블 훼손, 소프트웨어 오동작 등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19건의 통신장애 중 소비자 피해보상으로 이어진 것은 7건에 불과했다. 나머지 12건의 경우 약관상 보상 대상이 아니라는 이유로 제외됐다.

통신장애와 관련 통신3사 이용약관에 따르면 고객 책임없이 3시간 연속 이동전화와 인터넷 서비스를 받지 못하거나 1개월 누적시간이 6시간을 초과할 경우 시간당 월정액과 부가사용료의 6배를 보상하게 돼 있다.


지난해 11월 발생한 KT 아현국사 화재 이후 통신3사는 이용자 피해구제 강화를 위해 방송통신위원회와 협의를 거쳐 약관을 개정, 이달부터 시행된다. 그러나 손해배상 금액을 기본요금과 부가사용료의 6배에서 8배로 상향했을 뿐, 피해 보상 기준은 ‘연속 3시간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할 경우’로 유지해 손해배상 대상자 규모는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란 지적이다.

신용현 의원은 “현행 통신3사의 약관으로는 통신장애 피해에 대한 보상은 극히 제한적이고 약관이 개정되더라도 3시간 이하의 통신장애에 대해서는 피해보상이 어렵다” 며 “통신장애로 인한 실질적 피해보상 기준을 마련해 이용자 보호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초연결시대로 대표되는 5G(5세대 이동통신)시대에 통신망 두절은 재난으로 확대될 수 있다”며 “다가오는 국정감사에서 통신재난 대비를 위한 정부 대책을 점검하고,나아가 실효성 있는 피해자 보상 대책마련을 촉구하겠다”고 강조했다.

베스트 클릭

  1. 1 노동교화형은 커녕…'신유빈과 셀카' 북한 탁구 선수들 '깜짝근황'
  2. 2 "바닥엔 바퀴벌레 수천마리…죽은 개들 쏟아져" 가정집서 무슨 일이
  3. 3 '日 노벨상 산실' 수석과학자…'다 버리고' 한국행 택한 까닭은
  4. 4 "곽튜브가 친구 물건 훔쳐" 학폭 이유 반전(?)…동창 폭로 나왔다
  5. 5 '황재균과 이혼설' 지연, 결혼반지 뺐다…3개월 만에 유튜브 복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