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활용 신약 개발기간 절반 단축…3년간 258억 투자

머니투데이 김근희 기자 | 2019.06.13 12:00

과기정통부·복지부, AI·신약개발 전문가 연구팀 6개 구성

보건복지부 / 사진=민승기 기자

정부가 인공지능(AI)를 활용한 신약 개발을 위해 AI와 신약개발 전문가로 구성된 연구팀과 기관을 구성하고, 3년간 258억원을 투자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보건복지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AI 활용 신약개발 활성화 사업 방안'을 13일 발표했다.

사업의 주요 내용은 신약 후보물질 도출, 임상시험 등 신약 개발 단계별로 맞춤형 AI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다. 성공 가능성이 있는 후보물질 발굴, 신약 재창출, 스마트 약물감시 3개 분야를 선도적으로 개발할 방침이다.

이번 사업은 정부가 앞서 발표한 '바이오헬스산업 혁신전략'을 통한 5대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계획의 후속조치다. 정부는 최근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AI를 활용한 신약 개발 사업을 펼치고 있다.

그동안 의약품 분야는 1200조원에 달하는 세계 시장규모, 블록버스터 신약의 조 단위 매출 등을 이유로 신성장 동력 산업으로 꼽혔다. 그러나 신약 개발 분야는 1조원 이상의 비용과 15년에 달하는 기간 등 진입장벽이 높은 곳이다. 이에 정부는 국내 연구데이터, 병원 진료정보, ICT(정보통신기술) 등을 활용해 신약 개발 비용과 시간을 줄이겠다는 계획이다.

이번 사업에서는 신약 후보물질의 발굴을 돕는 AI 플랫폼 개발을 위해, 아론티어, 중앙대학교,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화여자대학교 4개 팀이 연구를 수행한다.

아론티어는 서울 아산병원 유전체 데이터, 간(肝) 오가노이드(장기 유사체) 실험 데이터를 활용해 폐암・뇌암 등 치료제 개발 플랫폼을 만든다. 중앙대는 한국화학연구원의 화합물 데이터를 바탕으로 질병 치료의 단서가 되는 단백질을 예측하고, 퇴행성 뇌질환에 특화된 플랫폼 개발을 수행한다.


대구경북첨복재단은 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의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모델을 만들고, 유한양행 등 주요 제약사의 화합물 데이터를 활용해 표적 항암제 개발 플랫폼을 구축한다. 이화여대는 항암제, 섬유화 치료제를 연구하고,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슈퍼컴퓨팅 인프라를 활용해 클라우드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미 개발된 의약품의 다른 효능을 찾아내 신약으로 만드는 '신약 재창출' 플랫폼도 개발한다. 이 연구는 한국과학기술원이 맡는다. 의약품의 감시체계를 보완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한다. 서울 아산병원은 면역항암제 빅데이터를 집중 학습해, 약물 이상 반응의 조기 예측과 신속 대처를 위한 약물 감시 지원 시스템을 구축한다.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은 6개의 연구과제를 지원·관리하고 AI 플랫폼의 공유와 확산을 위해 빅데이터 확보·관리, 민간 공개를 위한 시스템 구축·운영을 수행한다.

정부는 이번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신약개발 기간을 기존 15년에서 7~8년까지 최대 절반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개발된 플랫폼을 연구자와 기업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할 예정이다.

고서곤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앞으로 몇 년이 신약개발 분야의 도약 시기가 될 것"이라며 "신약개발과 AI의 융합을 적극 지원해 바이오헬스 분야의 성공사례를 만들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베스트 클릭

  1. 1 차 빼달라는 여성 폭행한 보디빌더…탄원서 75장 내며 "한 번만 기회를"
  2. 2 "390만 가구, 평균 109만원 줍니다"…자녀장려금 신청하세요
  3. 3 "유영재, 선우은숙 친언니 성폭행 직전까지"…증거도 제출
  4. 4 "6000만원 부족해서 못 가" 한소희, 프랑스 미대 준비는 맞지만…
  5. 5 월세 1000만원 따박따박…컨테이너 살던 노숙자→건물주 된 비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