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숫자 속을 들여다 보면 다른 평가도 가능하다. 케이뱅크는 가계신용대출만 취급한다. 주택담보대출 비중이 높은 시중은행과 직접 비교는 부적절하다. 올 1월 말 국내 은행의 가계신용대출 연체율은 0.47%로 주담대 연체율(0.2%)의 두 배 이상이다.
카카오뱅크도 주담대를 취급하지 않지만 사정은 케이뱅크와 다르다. 카카오뱅크는 리스크가 큰 신용대출 상당 부분을 서울보증보험 보증에 기댄다. 자체 CSS(신용평가모델)를 주로 활용하는 케이뱅크보다 연체율이 낮은 게 당연하다.
케이뱅크는 또 중금리대출에 가장 적극적인 은행이다. 은행연합회의 가계신용대출 금리구간별 비중 조사를 보면, 지난해 6개 은행(신한·KB국민·KEB하나·우리·NH농협·IBK기업)과 2개 인터넷은행 중에서 연 6% 이상 금리의 대출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케이뱅크(평균 33%)다.
굳이 케이뱅크의 연체율을 해명(?)하는 이유는 제3 인터넷은행 출현을 앞뒀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4년 전과 마찬가지로 혁신성·포용성 등을 심사 기준으로 제시했다.
그간 케이뱅크·카카오뱅크는 혁신적 UX·UI(사용자경험·환경)를 선보이며 기존 은행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를 이끌었다. 반면 고신용자 중심 영업과 높은 이자이익 의존도 등 영업행태는 다를 게 없았다. 새 인터넷은행에 대해 혁신적인 서민금융 해법을 기대하는 이유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