닻 올린 김기문號 험로 예고…中企 과제 첩첩산중

머니투데이 구경민 기자 | 2019.03.03 16:29

측근 금품수수 혐의속 당선, 검찰 수사 주목…업계 "선거법 개정·회장 권한 분산 필요"

김기문 제이에스티나 회장(왼쪽)이 28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제57회 정기총회에서 제26대 중소기업중앙회 신임회장에 당선된 뒤 당선 소감을 밝히고 있다. 결선투표 결과 김기문 후보는 296표를 득표하며 과반인 55.5%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중소기업중앙회 제공) 2019.2.28/뉴스1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360만 중소기업의 권익을 대변하는 26대 중소기업중앙회장선거가 지난 28일 김기문 제이에스티나 회장의 당선으로 마무리됐다. 이번 선거는 문재인정부 들어 높아진 중소기업계의 위상을 보여주듯 열띤 선거였다는 평가다.

하지만 금품수수 의혹을 받은 회장이 당선되면서 중기중앙회의 개혁이 요원한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회장이 검찰 수사를 받으면 중기중앙회의 정상적인 운영이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에 선출된 김 회장의 측근들은 금품선거 의혹으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다. 측근들의 수사 여부에 따라 김 회장도 수사선상에 오를 수 있다.

김 회장의 임기 첫날도 순조롭지 않았다. 당선일이자 임기 시작일인 지난달 28일 김 회장은 당선 직후 금품수수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는 데 대한 질문이 나오자 “모르는 일이다. 수사결과를 지켜보면 알 것”이라며 선을 긋고 자리를 떴다. 이 과정에서 고성과 욕설이 오가며 몸싸움도 벌어졌고, ‘당선 기자회견 중단’이라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업계 관계자는 “회장이 초기부터 수사를 받으면 중소기업계를 일사불란하게 이끌고 나가기는 어려워 보인다”며 “간선제의 한계를 개선하는 등의 선거법을 바꾸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업계에선 중기중앙회가 변화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회장에게 집중된 막강한 권한이 분산돼야 한다는데 한 목소리를 냈다. 중기중앙회장에겐 4년 임기 동안 중기중앙회의 인사권과 연 288억원의 예산권이 주어진다. 특히 경제5단체 중 유일하게 선거로 뽑히기 때문에 민간단체장이지만 정치적 영향력이 막강하다.


또 중소기업인 대표로 정부 행사 참석 시 부총리급 의전을 받고 5대 경제단체장의 1인으로 대통령의 공식 해외순방에 동행하는 등 정계와도 밀접하게 접촉하는 위치에 있다. 이 때문에 중기중앙회장은 정치권으로 가는 등용문 역할을 해왔다. 역대 중기중앙회장 11명 중 6명이 금배지(국회의원)를 달았다. 이중 4명은 퇴임 후 곧바로 국회에 입성했다.

특히 중기중앙회의 인사권이 회장에게 집중되다 보니 임직원이 회장 눈치를 보고 이는 전문성 부재로 이어진다는 부정적 시각도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중기중앙회가 변화하기 위해선 회장의 권한을 많이 내려놔야 한다”며 “그동안 중앙회 임직원 모두 중앙회장 눈치를 보며 살았다. 이제는 인사권도 인사위원회를 구성해 결정하는 등 회장 권한을 대폭 축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회장이 대외업무를 하고 대내업무는 부회장이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분야별 전문화한 부회장단에게 권한을 위임해 투명한 예산집행이 될 수 있는 중앙회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아이고 아버지! 이쑤시개 쓰면 안돼요"…치과의사의 경고
  2. 2 경매나온 홍록기 아파트, 낙찰돼도 '0원' 남아…매매가 19억
  3. 3 태국 보트 침몰 순간 "내리세요" 외친 한국인 알고보니…
  4. 4 민희진 "뉴진스, 7년 후 아티스트 되거나 시집 가거나…"
  5. 5 붕대 뒹구는 '강남 모녀 피살' 현장…"무서워 출근 못해" 주민 공포[르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