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수소차냐 전기차냐, 그 문제가 아니다

머니투데이 김남이 기자 | 2019.02.25 16:00
수소차(이하 수소전기차)냐 전기차냐, 그것이 문제가 아니다. 최근 수소경제가 주목받자 일부에서는 ‘왜 수소전기차에만 집중하냐’는 비판이 나온다. 전기차 시장이 더 유망하기 때문에 전기차에 자원을 쏟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정부나 제조사, 그 누구도 수소전기차만 지원 혹은 개발하겠다고 한 적이 없다. 정부 정책을 보면 내년 전기차 보급 목표는 4만2000대에 달한다. 수소전기차의 10배이다. 중장기적으로도 2022년까지 전기차는 43만대, 수소전기차는 6만5000대 보급이 목표다.

수소전기차를 출시한 현대차도 전기차를 놓은 것은 아니다. 현대·기아차는 올 1~2월 전기차 계약대수가 1만대를 넘겼다. 향후 출시 계획도 전기차 모델 수가 수소전기차를 앞선다.

수소전기차와 전기차는 공존할 것이라 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컨설팅 업체 KPMG가 글로벌 자동차산업 경영진 1000여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2040년 수소전기차가 23%, 전기차가 30%의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봤다.

세계 1위 자동차기업 폭스바겐그룹도 최근 2040년 자사 판매차량 중 10~25%를 수소전기차가 차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수소전기차와 전기차는 전기모터를 돌린다는 점에서 구동방식이 같다. 경쟁이 아닌 상호보완적 관계라는 뜻이다.


수소전기차가 아닌 ‘수소경제’, ‘수소사회’에 주목해야 한다. 수소전기차는 숲이 아니라 나무일 뿐이다. 수소경제는 자동차는 물론 에너지(수소생산·발전), 조선(액화수소수송선), 전자(가정용연료전지) 등 주요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는 더 앞선 논쟁을 해야 한다. 자동차에서 벗어나 수소경제 전반에 대한 득과 실을 따져봐야 한다. 약점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정책도 성공할 수 있다. 잘못된 논쟁은 오히려 실행의 힘을 잃게 만들 수 있다.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4. 4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
  5. 5 "참담하고 부끄러워" 강형욱, 훈련사 복귀 소식…갑질 논란 한 달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