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일리 美유엔대사 후임에 파월, 이방카 거론…'대북제재 완화' 가능성

머니투데이 김영선 기자 | 2018.10.10 13:38

2차 북미 정상회담 본격화한 상황서 트럼프 '친정체제' 구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국 대사와 얘기를 나누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헤일리 대사가 연말께 사임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헤일리 대사가 "당국자가 물러나야 할 때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 AFP=뉴스1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내 대표적인 '대북 강경파'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 대사가 사임하면서 미국의 대북(對北) 정책에도 변화가 생길지 주목된다. 2차 북미 정상회담이 본궤도에 오른 만큼 대사 교체를 계기로 미국의 강경 일변도가 누그러질지 관심이 쏠린다.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를 주도한 인물로 평가되는 헤일리 대사가 9일(현지시간) 연내 사임 의사를 밝혔다. 헤일리의 사임 의사를 수용한 트럼프 대통령은 "2~3주 안에 후임을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5명으로 좁혔다"는 후보군에는 디나 파월 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부보좌관과 트럼프 대통령의 장녀 이방카 트럼프 백악관 선임보좌관 등이 거론된다. '이방카의 여자'로 불릴 만큼 현 정부와 가까운 관계인 파월 전 부보좌관과 관련해 트럼프는 "그 사람은 확실히 내가 고려 중"이라고 강조했다. CNN은 "부보좌관에서 사임하기 전까지 파월은 트럼프가 가장 좋아하는 사람이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방카를 언급한 것도 눈길을 끈다. 트럼프는 "유엔 대사로서 (이방카가) '다이너마이트'가 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나 "(이방카를 대사로 지명하면) '족벌정치(nepotism)'라고 비난받을 것"이라며 실현 가능성을 차단했다. 이방카 본인도 트위터를 통해 "나는 헤일리 대사의 후임자가 아닐 것"이라고 일축했다.

파월 전 부보좌관과 이방카 선임보좌관 모두 친정체제를 강화하는 인사다.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2차 정상회담을 앞둔 트럼프 대통령의 의중이 국제사회를 향한 미국의 대북 메시지에 실시간 반영될 수 있단 의미다.

일단 유엔대사 교체만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기조 자체가 바뀔 것이란 관측은 무리라는 분석이 나온다. 북한에 우호적인 트럼프 대통령 본인도 여전히 대북 제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어서다.


다만 북미 비핵화 협상이 본격화한 시점과 헤일리 대사의 사임 발표가 맞물렸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는 견해가 제기된다. 트럼프 행정부의 '최대 압박' 정책을 최전선에 이끌어놓은 장본인이 2차 북미 정상회담을 목전에 두고 물러나는 것이어서 미국의 대북 압박 수위가 낮아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1차 북미 정상회담 전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의 예방을 받은 뒤 "북한에 '최대 압박'이란 용어를 더 쓰길 원치 않는다"고 말한 바 있다. 이 때문에 뒤이어 한미일 국방장관이 발표한 '공동 언론 보도문'에서 북한에 대한 '최대 압력'이란 표현이 빠지기도 했다.

대사 교체가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를 완화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트럼프가 2차 북미 정상회담 결과에 만족할 경우 유엔 안보리에서 추진하는 대북 제재 완화에 미국이 찬성표를 던질 수 있다는 것이다.

10월 안보리 의장국인 사차 로렌티 유엔주재 볼리비아 대사는 최근 유엔 본부 기자회견에서 "안보리는 (북한) 주민들의 생활에 악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는 분명한 공통 인식을 갖고 있다"고 설명, "제재위원회도 (제재) 예외 조치를 논의하고 있다"고 했다. 대북 제재 완화를 주장하는 중국, 러시아와 달리 미국은 아직 '제재 유지'를 기본으로 삼고 있다.

베스트 클릭

  1. 1 "나랑 안 닮았어" 아이 분유 먹이던 남편의 촉…혼인 취소한 충격 사연
  2. 2 "역시 싸고 좋아" 중국산으로 부활한 쏘나타…출시하자마자 판매 '쑥'
  3. 3 "파리 반값, 화장품 너무 싸"…중국인 북적대던 명동, 확 달라졌다[르포]
  4. 4 "이대로면 수도권도 소멸"…저출산 계속되면 10년 뒤 벌어질 일
  5. 5 김정은 위해 매년 숫처녀 25명 선발… 탈북자 폭로한 '기쁨조' 실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