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금융위기를 촉발할 위험요인은… 금리정상화·중국경제위기 등

머니투데이 뉴욕(미국)=송정렬 특파원 | 2018.09.12 17:03

[금융위기 10년(上)]③ 중앙은행 통화정책 정상화로 글로벌 금융시스템 시험대

편집자주 | 대공황이후 최악의 세계경제위기를 몰고 온 미국 투자은행 리먼 브러더스의 파산이 이달 15일로 10년이다. 각국 중앙은행의 유례없는 초저금리로 미국은 위기에서 벗어나 호황을 누리고 있지만 위기의 칼끝은 늘어난 유동성에 취해 부채가 급증한 신흥국들을 다시 향하고 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Subprime mortgage). 비우량 주택담보대출을 말한다. 10년 전인 2008년 9월 15일 미국 4위의 투자은행인 리먼 브라더스가 파산보호를 신청한 주요인이다. 이후 미국 증시는 폭락했고, 글로벌 금융시장도 패닉에 빠졌다. 미국 연방준비제도를 필두로 세계 주요 중앙은행들은 제로 금리에 막대한 돈을 시장에 푸는 비정상적 통화정책을 통해 위기대응에 나섰다.

10년 흐른 지금, 연준은 점진적으로 금리를 인상하며 양적완화 되감기를 진행 중이다. 그 여파 속에 터키, 아르헨티나 등의 통화가 급락하는 등 신흥국 경제가 휘청거리면서 금융위기의 공포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과연 다음 금융위기를 촉발한 요인들은 무엇일까. 1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은 △금리정상화의 충격, △중국경제의 위기, △부실채권 투자확대 △이탈리아발 유로존 불안, △공급망 붕괴 등을 그 후보들로 꼽았다.

◇금리정상화의 충격 : 제로금리와 양적완화로 상징되는 금융위기 이후 세계 주요 중앙은행들의 비정상 통화정책은 위험추구성향을 높였다. 하지만 미국 등 세계경제가 되살아나면서 금리인상이 본격화되고 있다. 연준은 금융위기 이후 지난 2015년 12월 첫 금리인상을 시작으로 그동안 7차례 금리를 인상했다. 8월 고용지표가 호조를 보이면서 9월에도 금리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럽중앙은행도 자산매입프로그램을 종료하고, 금리인상에 나설 채비를 갖추고 있다.

문제는 금리인상은 항상 금융시스템의 빈틈을 노출시켜왔다는 것이다. 고금리는 일반적으로 주식과 상품가격을 떨어뜨린다. 이 같은 손실은 레버리지에 의해 확대되고 기업들의 채무불이행이 높아진다. 결국 이는 신흥시장의 자본이탈과 통화가치 하락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금리가 현재처럼 오랫동안 낮게 유지된 적이 없다. 금리의 정상화는 글로벌 금융시스템을 미지의 새로운 환경 속으로 진입시키고 있다.

◇중국경제의 위기 : 세계 경제의 양대산맥인 미국과 중국이 무역전쟁을 펼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500억 달러의 중국산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한데 이어 2000억 달러와 2670억 달러 관세폭탄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외부 수요가 약화되면 중국은 2009년처럼 자국내 투자 확대를 통해 경제부양에 나서야한다.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부분적으로 역사상 가장 빠르게 늘고 있는 부채에 의해 뒷받침됐다. 중국의 GDP(국내총생산)대비 총부채는 2008년 4분기 171%에서 2018년 1분기 299%로 급등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은 미국과의 무역전쟁과 달러강세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중국발 금융위기를 촉발할 수 있는 가장 가능성 있는 요인은 부동산 붕괴나 지방정부 소유의 자금조달 기관들의 연쇄적인 채무불이행이다. 이는 중국 은행들의 재정에 심각한 타격을 입히고, 엄청난 자본유출을 촉발할 수 있다. 중국경제의 둔화는 상품가격을 떨어뜨리고 많은 신흥국가 통화가치를 하락시켜, 달러화 표기 채권의 채무불이행을 촉발, 서구 대출업체에도 타격을 입힐 수 있다. 또한 둔화된 신흥국가의 경제성장률은 미국과 유럽 수출업체들에도 직격탄이 될 수밖에 없다.


◇ 부실채권 투자확대: 지난 10년간의 저금리는 더 높은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을 더 위험한 채권에 투자하도록 만들었다. 미국의 투기등급인 BBB 회사채 규모는 2조5000억 달러로 전체 회사채 시장의 거의 절반을 차지한다. 15년내 가장 높은 비중이다. 그만큼 저금리의 이면에서 위험자산 투자가 늘어난 것이다. 이는 연기금부터 보험사, 뮤추얼펀드, 상장지수펀드(ETF), 은행까지 중대한 손실 위험에 노출돼 있음을 의미한다.

◇ 이탈리아발 유로존 불안 :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은 2012년 재정위기를 탈출하기 위해 재정적자 상한선을 GDP의 3%로 규정한 유럽연합(EU) 재정규약을 준수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지난 3월 총선에서 유로존 탈퇴를 주장하던 신생정당인 '오성운동'과 극우정당인 '동맹'이 약진, 서유럽 최초의 포퓰리즘 연립정부를 꾸리면서 상황은 달라졌다. 현재 이탈리아의 GDP 대비 총부채는 132%에 달하는 가운데 이탈리아 정부는 내년 예산에 세금감면 등 재정지출을 확대하는 정책들을 대거 반영하려고 하고 있어 불안감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탈리아 정부는 최근 금융시장 불안에 EU 규정을 준수하겠다고 한발 물러섰지만, 다시 EU와 충돌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이탈리아 국민의 59%만이 유로화를 지지하고 있다. 영국의 브렉시트에 이어 이탈리아의 EU탈퇴가 가시화될 경우 엄청난 후폭풍이 예고된다. 당장 이탈리아 은행들이 뱅크런에 직면하고, 충격은 이탈리아 국채의 36%를 보유한 외국투자자들에게까지 확산될 수 있다. 유로존 다른 회원국 은행들은 1400억 달러의 이탈리아 국채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스페인과 포르투갈 국채에 대한 시장 신뢰도 떨어져 위기가 확산될 수밖에 없다. 이탈리아의 정치 불확실성은 세계 3대 주요 경제권인 유로존의 근심거리가 되고 있다.

◇ 공급망 붕괴 : 재앙은 어느 순간에도 일어날 수 있고 빠르게 확산될 수 있다. 특히 수십년간의 세계화와 기술진보는 자연재해나 인재의 여파가 쉽게 전 세계로 확산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예컨대 2011년 태국의 홍수는 하드드라이브 생산업체들의 가동을 중단시켜 PC 글로벌 공급망을 혼란에 빠뜨렸고, 2011년 일본의 지진과 쓰나미는 핵심 자동차 부품업체들에 피해를 입혀 전 세계 자동차 공장의 문을 닫게 만들었다. 예측불가능한 날씨와 불량 국가들은 주요 기업들을 파산시키고, 경기침체를 촉발할 수 있을 만큼 심각한 상황을 만들어낼 수 있다.

베스트 클릭

  1. 1 남편·친모 눈 바늘로 찌르고 죽인 사이코패스…24년만 얼굴 공개
  2. 2 나훈아 '김정은 돼지' 발언에 악플 900개…전여옥 "틀린 말 있나요?"
  3. 3 "예비신부, 이복 동생"…'먹튀 의혹' 유재환, 성희롱 폭로까지?
  4. 4 불바다 된 LA, 한국인들은 총을 들었다…흑인의 분노, 왜 한인 향했나[뉴스속오늘]
  5. 5 계단 오를 때 '헉헉' 체력 줄었나 했더니…"돌연사 원인" 이병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