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스타벅스와 日편의점의 공통점

머니투데이 지영호 기자 | 2018.07.20 04:00
수많은 커피브랜드 중 독보적 브랜드파워를 보유한 스타벅스는 한국 시장에 진출하면서 ‘권리금’이라는 독특한 임대방식에 고심했다고 한다. 결국 권리금이 없는 대형건물 1층에 입점하는 전략으로 선회했고 특히 건물주와 매출이익을 나눠 갖는 방식으로 임대계약을 하기도 했다.

‘편의점 천국’으로 불리는 일본의 경우 편의점 본사와 점주간 계약이 우리와 차이가 있다. 핵심은 이익을 본사와 운영자가 나눠 갖는 구조다. 운영자가 이익을 더 가져가고 싶으면 아르바이트를 줄이거나 더 많은 매출을 올려야 하고, 본사는 수익이 날 만한 곳에만 출점을 허용한다. 과밀지역이라도 수익을 올릴 수 있다고 판단하면 출점하고 그 분석이 실패했다면 함께 리스크를 지는 방식이다.

스타벅스나 일본 편의점 사례가 관통하는 부분은 위험을 분산하고 이익을 공유한다는 점이다. 이들 대부분 관리가 가능한 직영점 형태로 운영되기 때문에 우리 자영업자에게 적용하기 쉽지 않은 면은 있지만 새겨볼 만한 부분이다.

현재 국내 자영업은 커피전문점이나 편의점뿐 아니라 치킨전문점, 빵집, 부동산중개업소, 휴대폰전문점 등 과밀화한 업종으로 넘쳐난다. 자영업 비율은 25% 넘는다. 숫자로 치면 557만명,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기준 세 손가락에 들 정도로 많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매년 70만명이 폐업한다. 퇴직금을 털어 자영업자로 전환한 은퇴자의 상당수가 이런 위험에 노출된다. 자영업자의 폐업으로 연간 30조원의 사회적 비용이 든다고 한다. 이익을 공유하고 위험을 나눠 지는 사회 분위기가 조성되지 않는다면 이 비용은 더 커질지도 모른다. 최저임금 인상으로 어려움을 호소하는 자영업자들이 더 크게 목소리를 높여야 할 부분이기도 하다.


베스트 클릭

  1. 1 "번개탄 검색"…'선우은숙과 이혼' 유영재, 정신병원 긴급 입원
  2. 2 유영재 정신병원 입원에 선우은숙 '황당'…"법적 절차 그대로 진행"
  3. 3 법원장을 변호사로…조형기, 사체유기에도 '집행유예 감형' 비결
  4. 4 "통장 사진 보내라 해서 보냈는데" 첫출근 전에 잘린 직원…왜?
  5. 5 '개저씨' 취급 방시혁 덕에... 민희진 최소 700억 돈방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