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지연구소, 세계 최초로 남극 빙붕 과정 규명

머니투데이 신재은 MT해양에디터 | 2018.06.15 15:42

남극 빙붕은 어떻게 붕괴되는가… 사이언스 어드밴스紙 게재, 해수면 상승 예측 근거 확보

빙붕에 균열이 생겨 붕괴가 일어나는 과정. (가) 빙붕 앞에서 바라본 모습, (다) 빙붕 상부 균열을 옆에서 바라본 모습 /사진제공=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춘)와 극지연구소(소장 윤호일)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남극의 빙붕(氷棚, Ice Shelf)이 붕괴되어 해수면 상승을 촉진하는 과정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빙붕은 남극 대륙과 이어져 바다에 떠 있는 200m~900m 두께의 거대한 얼음 덩어리로, 대륙 위 빙하가 바다로 흘러내리는 것을 막아 해수면 상승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그동안 빙붕의 두께가 얇아지거나 붕괴되는 모습은 여러 차례 관측됐지만, 붕괴가 어떻게 시작됐는지는 아직까지 밝혀진 바가 없었다.

이에, 극지연구소와 국제공동연구팀은 해양수산부가 2014년부터 추진한 ‘장보고과학기지 주변 빙권 변화 진단, 원인 규명 및 예측’ 연구의 일환으로 빙붕의 붕괴과정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를 추진해 왔다.

그 결과 연구팀은 빙붕 하부에 만들어져 흐르는 물골(basal channel)의 영향으로 빙붕의 두께가 점차 얇아져 빙붕 상부에 균열이 생기고, 이로 인해 빙붕이 붕괴된다는 것을 규명했다.

기후변화로 인해 빙붕 하부로 따뜻한 바닷물이 유입되고, 이로 인해 녹은 물은 바닷물보다 밀도가 낮아 빙붕 바닥을 따라 흐르면서 얼음층을 녹여 물골을 만들게 된다. 이후 평형을 이루는 과정에서 물골 위를 지나는 빙붕의 상부에도 아래로 움푹 파인 구조가 형성되며, 두께가 얇아진 빙붕에 균열이 생기고, 이곳으로 유입된 물이 얼면서 균열이 커져 결국 빙붕의 끝 부분이 떨어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연구팀은 2016년 4월에 붕괴된 남극장보고과학기지 인근 ‘난센 (Nansen) 빙붕’을 인공위성과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를 통해 관찰하면서 위와 같은 현상을 파악했다.

이번 연구를 이끈 극지연구소의 이원상 해수면변동예측사업단장은 “지구온난화로 대기가 따뜻해지면서 빙붕의 붕괴 속도가 증가하면, 해수면 상승이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권위의 학술지인 미국 사이언스 어드밴스(Science Advances)紙 6월호에 게재됐다.

허만욱 해양수산부 해양개발과장은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정확한 해수면상승 예측을 위한 연구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며, 향후 연안침수 피해를 줄이기 위한 예측모델 개발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베스트 클릭

  1. 1 차 빼달라는 여성 폭행한 보디빌더…탄원서 75장 내며 "한 번만 기회를"
  2. 2 "390만 가구, 평균 109만원 줍니다"…자녀장려금 신청하세요
  3. 3 "욕하고 때리고, 다른 여자까지…" 프로야구 선수 폭로글 또 터졌다
  4. 4 동창에 2억 뜯은 20대, 피해자 모친 숨져…"최악" 판사도 질타했다
  5. 5 "6000만원 부족해서 못 가" 한소희, 프랑스 미대 준비는 맞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