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호준의 길위의 편지] 건봉사에 가면 봐야할 것들

머니투데이 이호준 시인·여행작가 | 2018.06.02 07:29
설악 무산(雪嶽 霧山) 대종사 오현스님 다비식 장면./사진제공=이호준 여행작가
건봉사를 찾아간 건 몇 년 만의 일이었다. 여행 계획이 있었던 건 아니고, 오현 스님으로 잘 알려진 설악 무산(雪嶽 霧山) 대종사의 다비식을 참관하기 위해서 들른 참이었다. 다비식은 소나기가 오락가락하는 가운데 건봉사 입구의 연화대에서 진행됐다. 산들은 오현 스님의 법명인 안개산(霧山)을 연출이라도 하듯, 운무를 가득 안고 있었다. 수많은 스님과 불자들이 스님이 마지막으로 가는 길을 전송했다.

건봉사는 다비식이 시작되기 전에 막간을 이용하여 다녀왔다. 오전 10시쯤 도착했는데, 다비식은 오후 1시가 넘어야 시작한다고 해서 모처럼 경내를 찬찬히 돌아볼 수 있었다.

누가 건봉사에서 가장 좋아하는 곳이 어디냐고 물으면 나는 망설이지 않고 '소나무 길'이라고 대답한다. 열병하듯 서 있는 아름드리 소나무들 사이를 걷다 보면 괜스레 든든하고 행복해진다. 수령 200~300년은 족히 된 이 소나무들은 한국전쟁의 포화 속에서도 꿋꿋이 살아남은 것들이다. 특히 적멸보궁 맞은 편 산등성이에 서 있는 소나무 한 그루는 발군이다. '건봉사 왕소나무'라고 불리는 이 나무는 낙락장송이란 말을 온몸으로 설명하듯 고고한 자태를 자랑한다.

대웅전으로 가는 입구인 건봉사 봉서루./사진제공=이호준 여행작가
몇 년 못 본 사이 건봉사도 많이 변해 있었다. 곳곳에 새 건물이 들어서는 등 중창불사에 힘쓴 흔적이 역력했다. 고즈넉한 분위기가 훼손되는 것은 아쉽지만, 과거에 워낙 큰 절이었기 때문에 그 성세를 되찾으려는 노력이 어느 정도 수긍이 됐다. 건봉사는 국내 4대 사찰로 불렸을 만큼 큰 절이었다.

안내문에 따르면 건봉사는 신라시대 법흥왕 7년(520년) 아도화상이 창건하여 원각사(圓覺寺)라 불렀다. 그 후 도선국사가 중수하여 서봉사(西鳳寺)라 하였다가 1358년에는 나옹화상이 다시 중수하고 건봉사라고 개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조선 세조 때인 1464년에는 어실각(御室閣)을 짓고 역대 임금의 원당(願堂)으로 삼았다. 1878년에 일어난 큰불로 3183칸이 전소됐으나 여러 차례 복원하여 1911년에는 9개 말사를 거느린 31본산의 하나가 되었다.

임진왜란 때 사명대사가 승병을 일으킨 호국도량이기도 했으며 구한말 개화사상과 신문화교육을 위해 봉명학원을 운영했다. 특히 한국전쟁 중 2년 동안은 아군 5, 8, 9사단, 미군 10군단과 북한군 5개 사단이 16차례의 치열한 공방을 벌이면서 일대가 완전히 폐허가 되었으나 1994년 이후 점차 복원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한국전쟁 전 건봉사는 총 642칸과 보림암 등 124칸의 18개 부속암이 있었다.

다른 절을 소개할 때에 비해 건봉사의 궤적을 상세하게 기술하는 것은 그 역사를 알아야 이 절이 제대로 보이기 때문이다. 문화재 등을 찾아갈 때는 무엇을 중시해서 볼 것인가 미리 정하고 가면 좀 더 풍요로운 여행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풍경을 잘 살펴봐야 하는 곳, 건물의 구조를 중점적으로 봐야 하는 곳, 전체적인 역사를 살펴볼 곳 등 각각의 특징을 파악하고 가면 좋다.


능파교 가운데 서서 쉬지 않고 흘러내리는 물을 오랫동안 바라보았다. 옛사람 누군가도 여기 서서 냇물을 보았겠지. 세월에 따라 사람은 바뀌어도 자연은 변함없이 자신의 역할을 한다. 건봉사에서 또 하나 눈여겨 볼 것은 십바라밀석주이다. 능파교를 건너면 높이 158㎝의 돌기둥 2기와 만나게 되는데, 그게 바로 십바라밀석주이다. 이 돌기둥에는 십바라밀(十波羅蜜)의 도형이 음각돼 있다. 십바라밀은 대승불교의 수행방법을 상징화한 것으로, 그 하나하나에 깊은 의미가 새겨져 있다.

건봉사 대웅전./사진제공=이호준 여행작가
'금강산 건봉사(金剛山 乾鳳寺)'라는 현판이 붙은 봉서루를 지나 대웅전에 들러 부처님에게 예를 올리고 경내를 한 바퀴 돌아보았다. 건봉사를 가면 반드시 들러야 할 곳이 부처님의 치아사리를 모신 적멸보궁이다. 신라 때 자장법사가 가져온 부처님 진신사리 100과가 5대 적멸보궁인 통도사, 월정사, 법흥사, 정암사, 봉정암에 나누어 봉안되었는데, 임진왜란 때 강탈되었다가 사명대사가 왜국에 가서 찾아와 통도사에 다시 봉안하고 그중 12과를 건봉사 석가여래치상탑비에 모셨다고 한다. 그러다가 1986년 사리탑이 도굴되면서 도둑을 맞았다. 뒤에 8과를 돌려받아 5과는 종무소에 있는 염불원에, 나머지 3과는 사리탑에 다시 봉안하였지만 나머지 4과는 아직 행방이 묘연하다.

이 밖에도 건봉사에 가면 잊지 말고 찾아봐야 할 게 몇 가지 있다. '왕소나무' 외에도 주차장 옆에 있는 대형 돌확과 공양간 뒤편에 있는 장군샘 등이 그것이다. 건봉사는 폐사지로 남아있는 빈 절터까지 천천히 돌아보면서 곳곳에 새겨진 역사의 흔적을 확인해보기에 좋은 절이다. 고즈넉한 분위기를 즐기는 사람이라면 한 번 쯤 다녀올 것을 권한다.



베스트 클릭

  1. 1 나훈아 '김정은 돼지' 발언에 악플 900개…전여옥 "틀린 말 있나요?"
  2. 2 "390만 가구, 평균 109만원 줍니다"…자녀장려금 신청하세요
  3. 3 "욕하고 때리고, 다른 여자까지…" 프로야구 선수 폭로글 또 터졌다
  4. 4 차 빼달라는 여성 폭행한 보디빌더…탄원서 75장 내며 "한 번만 기회를"
  5. 5 동창에 2억 뜯은 20대, 피해자 모친 숨져…"최악" 판사도 질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