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피랍 공개, 인질범 압박할 수 있어..가족·외교부와 협의"

머니투데이 김성휘 기자 | 2018.04.03 11:06

[the300]가나 해역서 납치..文대통령, 기존 대응메뉴얼 재점검 주문

【부산=뉴시스】 대한민국 해군 청해부대 26진 문무대왕함(DDH-Ⅱ·4400t급)이 지난 2월 6번째 파병길에 오르는 모습.오는 8월 중순까지 소말리아 아덴만 해역에서 선박 호송과 해적 퇴치 등 우리 선박의 안전항해를 지원할 계획이다. 2018.02.12. photo@newsis.com
청와대는 가나 해역서 해적에 피랍된 한국인 선원 관련, 비공개에서 공개대응으로 전환하고 청해부대를 현지에 보낸 데에 "인질범들이 어느 정도 압박을 받을 상황을 만들어야 된다는 판단이었다"며 "그래서 (공개를) 외교부와 협의한 게 사실"이라고 밝혔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3일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이런 방침에는 문재인 대통령 지시가 있다. 문 대통령은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순방중 이 사건을 보고 받았다. 귀국 후 참모들에게 재차 보고를 받으며 "청해부대가 가야 한다"는 취지로 언급했다. 이에 따라 문무대왕함이 현지로 이동중이다.

통상 해적 피랍 대응은 국민의 신변을 고려, 비공개 상태에서 선사(선주)와 인질범(해적) 간 대화를 중심으로 해 왔다. 문 대통령은 그러나 선사에만 모두 맡기고 정부는 빠져있는 게 바람직한지, 정부가 할 수 있는 부분은 해야하는 게 아닌지 고민했다.




고위관계자는 "해적 납치 장기화에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는데 지금까지 선사-해적간 직접 대화하고 정부는 개입하지 않는, 그래서 인질구출이 장기화되는 일 있었고 그 부분을 문 대통령이 고민했다"고 설명했다. 또 "(비공개) 관례 자체에 문제의식을 갖고 있는 것"이라며 "지금은 군을 움직이고 압박하는 게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 현지 언론 등에 이 사실이 보도, 공개된 상황인 점도 고려했다. 그는 "외교부와 협의를 했고, 가족들 의사가 중요하니 가족들 의사확인하라는 과정이 있었다"고 밝혔다.

청와대와 외교부 등은 기존 정부가 해왔던 인질구출 방식과 메뉴얼도 이 계기에 재점검할 방침이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4. 4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
  5. 5 "참담하고 부끄러워" 강형욱, 훈련사 복귀 소식…갑질 논란 한 달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