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AI 접목해 연구실 안전관리 지능화"

머니투데이 류준영 기자 | 2018.01.29 03:00

노영희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장, 2020년까지 '위해인자 DB' 구축

노영희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장은 지난해 연구실 안전 관리 사각지대를 줄여나가는 환경개선지원 사업을 위해 전국을 다녔다. 노 본부장은 “지역 대학 연구소 소속 석·박사급 젊은 학생들이 일반 강의실 같은 곳에서 폭발성이 강한 원료와 위험한 실험 기자재로 연구를 진행하는 아찔한 장면을 아직도 만난다”며 “지역별 편차가 좀처럼 좁혀지지 않는 것 같다”며 한숨을 쉬었다. 연구실 안전 관리 수준의 지역별 편차가 여전하다는 얘기다.

노영희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장/사진=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
연구실은 잠시 한눈을 팔거나 주의를 게을리하면 화약고로 변한다. 김경진 국민의당 의원실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하루당 1회꼴로 사고가 났다. 지난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실시한 연구현장검사는 420곳. 정부출연연구기관·기업·대학 등을 통틀어 연구실 안전 관리 대상 기관이 4700여 곳에 이른다는 점에서 현장 점검률이 10%에도 미치지 못한다.

노 본부장은 보다 현실적으로 연구실 안전 관리 대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정부 주도의 일관적 규제가 아닌 현장중심의 자율적 안전관리 체계가 정착돼야 한다는 게 그의 판단이다.

“안전관리·교육은 기존 아날로그 방식과 새로운 첨단 기술 방식이 보조를 맞추는 방식으로 현장에 100% 적용한다는 목표를 잡았죠. 올해는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 사업의 ‘하우’(How, 어떻게)를 이전과는 다르게 해보려고 합니다.”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를 먼저 안전 관리 자동화를 위해 연구실 내 위해 인자 데이터베이스(DB)를 2020년까지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연구 현장에서 사전에 감지하기 어려운 위험 인자를 보다 신속하게 알려주는 체계를 갖추기 위해선 DB 확보가 필요하다.

“국내외 혹은 화학·생물 등 연구 분야별로 뿔뿔이 흩어져 있는 안전 정보 중 연구자에게 필요한 핵심 정보만을 취합·분석할 거예요. 또 사고원인과 피해규모 등 사고유형을 세분화한 일명 ‘사고 정보 DB’도 만들어 유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할 겁니다.”


아울러 IoT(사물인터넷), AI(인공지능), VR(가상현실) 등 첨단기술을 접목한 연구안전 관리·교육시스템도 개발, 연구실 안전 관리능력을 지능화한다는 계획이다.

연구실 안전 분야는 현장 실무자는 많지만 전문 관리자가 턱없이 부족하다는 얘기를 많이 듣는다. 이 때문에 2020년 ‘연구실안전관리사’ 자격증 제도를 도입 중이다.

“R&D(연구·안전)는 분야 별로 다루는 약품이나 장비 등이 모두 달라서 그 특성을 이해하는 게 중요합니다. 산업보단 R&D 과제계획서만 봐도 머릿속에 그림이 딱 그려지는 그런 전문인력이 필요한 거죠. 하지만 현장에는 마땅한 사람이 없어 산업안전기사 등을 갖고 있는 사람을 일단 채용해요. 물론 그들 나름 전문가지만 한계가 있는 게 사실입니다. 작년에 응시자격, 검증기준 및 방법, 교육·훈련 등 자격제도 세부 운영기준을 만들었고, 올해는 자격 신설을 위한 연구실안전법 개정과 세부기준에 대한 법제화 등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이밖에 안전 점검·진단 표준화도 시행할 예정이다. “대학의 경우 90%가 정밀 안전 진단을 외부에 맡기는 데 각자가 가진 기준으로 점검·진단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죠. 점검·진단의 세부 기준을 마련해 부실 점검을 예방해야 합니다. 또 객관적인 검사 수수료 산정, 대행기관 운영실태 점검 등을 통해 안전 관리의 전문성을 높여나갈 겁니다.”

베스트 클릭

  1. 1 '보물이 와르르' 서울 한복판서 감탄…400살 건물 뜯어보니[르포]
  2. 2 '공황 탓 뺑소니' 김호중…두달전 "야한 생각으로 공황장애 극복"
  3. 3 김호중 팬클럽 기부금 거절당했다…"곤혹스러워, 50만원 반환"
  4. 4 이 순대 한접시에 1만원?…두번은 찾지 않을 여행지 '한국' [남기자의 체헐리즘]
  5. 5 생활고 호소하던 김호중… 트롯 전향 4년만 '3억대 벤틀리' 뺑소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