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호준의 길위의 편지]무량사에서 옛사람을 만나다

머니투데이 이호준 시인·여행작가 | 2017.12.30 09:02
또 한해가 훌쩍 지났다. 시간이 얼마나 빠른지 절감하는 시기이다. 연말을 지나 새해를 맞이하는 과정은 산 하나를 넘는 것만큼이나 험난하다. 이리저리 휩쓸리며 정신없이 지나다 보면 어느새 새 달력이 걸려있기 마련이다. 한 해의 끝머리가 사람들 속에서 번잡했다면 연초에는 자신을 들여다보는 시간을 갖는 것은 어떨지. 가장 좋은 방법은 일상에서 잠시 벗어나는 것이다. 다만 나와 똑같은 사람들과 똑같은 생각을 하고 싶지 않다면 복잡한 곳은 피하는 게 좋다.

굳이 여행이라는 이름을 붙이지 않아도 괜찮다. 먼 곳일 필요도 없다. 지난 한 해는 제대로 걸어왔는지, 새로 받아든 한 해는 어떻게 써야 할지, 스스로 질문하고 대답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곳이면 좋다. 충남 부여에 있는 만수산 무량사는 마음에 고요를 들이고 싶을 때 찾아가는 절이다. 특히 혼자 걷고 사색하기에 알맞은 절집이다.

겨울의 적막을 안고 있는 사하촌을 지나 일주문 앞에서 걸음을 멈춘다. 일주문은 그렇게 잠깐 멈췄다 들어가는 문이다. 부처의 영토로 들어서기 전에 마음을 씻고 진리의 세계로 향하라는 뜻을 품고 있다. 무량사는 일주문을 지나 절로 오르는 길이 특히 좋다. 고즈넉한데다 완만해서 저절로 마음에 평화가 깃든다. 길가의 감나무들은 가으내 걸었던 붉은 등을 내리고 앙상한 몸으로 추위를 견디고 있다. 저만치 만수산이 너른 품을 펼쳐 안을 듯 반긴다.

천왕문 앞에서 바라본 석등, 오층석탑, 극락전/사진=이호준 여행작가


천왕문으로 들어가는 계단에서는 걸음을 멈추고 문 안을 찬찬하게 들여다본다. 가지를 늘어뜨린 소나무 아래로 석등(보물 제233호)과 오층석탑(보물 제185호)이 일직선으로 서 있다. 그리고 시선의 끝에 극락전이 있다. 누군가 치밀한 계산으로 위치를 정한 듯 조화롭다. 절은 산속에 있되 그 산이 너른 자락을 내준 덕분에 앉은 터가 옹색하지 않다. 역시 경내는 조용하다. 절을 혼자 차지하기라도 한 듯 천천히 걷는다.

무량사의 주불(主佛)은 서방 극락세계를 주재하는 아미타불이다. 헤아릴 수 없이 무한한 수명을 가졌다 하여 무량수불(無量壽佛)이라고도 한다. 무량사라는 절 이름도 거기서 나왔다. 곱게 늙은 노인의 모습이 이럴까? 극락전은 고졸(古拙)하되 우아한 모습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지붕을 잇는 선은 만수산 능선을 닮았다. 날렵하되 날카롭지 않다. 극락전 앞에 서서 합장한 뒤 천천히 걸음을 옮긴다. 영산전으로 올라가는 계단 옆에 선 배롱나무가 가지를 흔들어 객을 맞는다. 원통전을 지나 영정각 앞에 선다.

문을 열어놓은 영정각에는 한 사람의 초상이 걸려있다. 약간 찌푸린 눈매와 꼭 다문 입술의 중년 남자. 매월당 김시습이다. 이 절에서는 설잠(雪岑) 스님이라고 불렀다. 어릴 적부터 천재로 이름을 떨쳤지만 수양대군이 어린 조카의 왕위를 찬탈했다는 소식을 듣고 모든 걸 버리고 떠돈 남자. 그리하여 후대에 생육신이라 불린 남자. 시대와 불화하여 숱한 기행을 남겼지만, 누가 뭐래도 당대의 문장가이자 시인이고 학자였다.


영정각의 매월당 김시습 초상/사진=이호준 여행작가


그는 이 절에서 생애를 마쳤다. 왜 말년에 이 궁벽한 절까지 왔는지는 알려진 게 없다. 죽음을 예감하고 파도처럼 거칠었던 생애를 재우러 왔을까? 갈등과 번뇌의 불을 끄고 관조와 깨달음의 등을 걸기 위해 먼 길을 걸어왔을까. 그의 초상으로 오후의 창백한 햇살이 비껴 내린다. 빛을 머금은 눈에서, 반역의 시간을 온몸으로 감내했던 한 사내의 고통을 엿본다. 무겁다고 투덜거리며 지고 온 내 고통이 얼마나 사사로운지 깨닫는다. 타인의 삶의 무게를 통해 자신의 고통을 가벼이 하는 건 비겁한 짓이 아니다.

매월당에게 작별 인사를 하고 돌아서서 극락전 뒤뜰을 걷는다. 지금은 한겨울의 쓸쓸함만 맴돌지만 가을에는 세상 어느 곳보다 단풍이 고운 절이다. 이리 저리 걸어도 사람의 흔적은 없고 산신각 뒤의 조릿대만 바람결에 서걱거린다. 뒤뜰을 한 바퀴 돈 뒤 다시 극락전 앞 너른 마당으로 나와 느티나무 아래 돌의자에 앉는다. 요사채 처마 끝에 매달린 풍경이 지나가는 바람을 붙잡고 뎅그렁뎅그렁 운다. 그 소리에 저자에서 지고 온 상처와 갈등을 슬그머니 묻어버린다. 빈자리에 한해를 살아갈 기운을 받아들인다.

춥지 않은 날이고 시간이 넉넉하다면, 무량사에서는 저녁 무렵까지 기다려보는 것도 좋다. 느티나무 아래에서 듣는 종소리가 유달리 마음을 편안하게 해준다. 종소리가 한 번씩 울릴 때마다 내 안에서 버글거리는 번뇌가 조금씩 지워지는 경험을 할 수 있다.


베스트 클릭

  1. 1 조국 "이재명과 연태고량주 마셨다"…고가 술 논란에 직접 해명
  2. 2 "싸게 내놔도 찬밥신세" 빌라 집주인들 곡소리…전세비율 '역대 최저'
  3. 3 한국은 2000만원인데…"네? 400만원이요?" 폭풍성장한 중국 로봇산업[차이나는 중국]
  4. 4 "거긴 아무도 안 사는데요?"…방치한 시골 주택 탓에 2억 '세금폭탄'[TheTax]
  5. 5 남친이 머리채 잡고 때리자…"너도 아파봐" 흉기로 반격한 여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