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탄저균 백신 도입' 해명···"예방접종 아닌 치료용 구매"

머니투데이 이영민 기자 | 2017.12.25 11:35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 /사진=뉴스1

청와대가 탄저균 감염에 대비해 문재인 대통령과 청와대 근무자 500여명이 백신을 도입해 접종을 완료했을 것이라는 한 언론보도를 부인했다.

24일 뉴스1에 따르면 청와대는 이날 박수현 대변인 명의로 참고자료를 내고 "청와대의 탄저균 백신도입은 2015년 '미군기지 탄저균 배달사고'로 필요성이 대두됐으며, 탄저균 테러에 대비한 치료목적으로 백신구입이 시행됐다"고 밝혔다.

앞서 한 언론은 지난 23일 '청와대 식구들, 탄저균백신 수입해 주사맞았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청와대가 대통령과 청와대 근무자만을 위한 백신을 수입했고 500여명이 접종을 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청와대는 박근혜 정부 당시 경호실(현재 경호처)이 지난해 초 해외에서 탄저균 백신 도입을 추진해 이를 2017년도 예산에 반영했고, 이에 따라 올해 7월4일 경호처가 식약처에 해당 백신 구매를 위한 공문을 발송한 뒤, 식약처 승인을 받아 탄저균 백신을 구입했다고 설명했다.

청와대는 일련의 절차를 거쳐 지난 11월2일 도입된 탄저균 백신 350도스(does·치료제로 사용시 350인분)를 국군 모 병원에 보관 중이라고 했다.

청와대는 아울러 탄저균 백신은 예방효과도 있으나, 탄저균 감염시 항생제(시프로플록사신, 독시사이클린 등)와 병용하면 치료효과가 2~3배로 증대된다고 설명하면서 항생제들은 질병관리본부에 비축돼 있다고 했다.

청와대는 "백신은 질본에서 생물테러 대응요원 예방과 국민 치료 목적으로 1000명분을 도입해 모처에서 보관 중"이라면서 "보관장소 등은 보안을 이유로 공개하는 게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이어 "탄저균 백신은 국내 임상실험이 시행되지 않아 부작용 등을 우려해 예방접종은 고려하지 않았다"고 부연했다.

청와대의 탄저균 백신도입 절차는 박근혜 정부 때 이미 시작됐으며, 예방이 아닌 치료목적으로 구입돼 '대통령과 청와대 관계자들의 예방접종설'은 사실이 아니라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앞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상훈 자유한국당 의원은 지난 10월 국정감사 기간 중 현 정부 청와대 경호처가 대통령과 청와대 근무자만을 위한 탄저균 치료제 구입을 추진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청와대는 해당 보도를 한 언론에 대해 적극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모 언론매체는 관련 내용을 기사화하는 과정에서 사실관계를 확인하는데 극히 소극적이었으며 반론조차 받지 않았다"며 "스스로도 '아마도 500명이 이 백신주사를 맞을 것'이라고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적시하기까지 했다"고 말했다.

이어 "매우 악의적 해석을 함으로써 현 정부와 청와대 신뢰를 결과적으로 훼손시켰다"며 "이에 해당 매체에 대해서는 가능한 강력한 법적 조처를 강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베스트 클릭

  1. 1 "못생겼어" 싼타페 변신 실패?…대신 '아빠차' 등극한 모델은
  2. 2 "말도 안 되는 휴진하게 된 이유는…" 소아흉부외과 교수 '통곡의 편지'
  3. 3 신동엽, '대마초 사건' 자폭 개그에…"부끄러운 줄 모르냐" 일침
  4. 4 3시간만에 수정된 '최태원 이혼 판결문'…"파기 사유도 가능"
  5. 5 군중 앞 끔찍한 전처 살해…"안 잡힐 자신 있다" 증발 16년째[뉴스속오늘]